에프터이펙트(after effect)에서 싱글 포인트 트래킹 사용하기(tracker)

반응형

에프터이펙트(after effect)에서 싱글 포인트 트래킹 사용하기(tracker)

1)프로젝트에 동영상을 가져오기합니다. 새로운 컴포지션을 생성하고 동영상과 shape 레이어(녹색 원)를 추가합니다.


2)동영상을 재생하면 shape 레이어의 녹색원이 가로등을 트래킹하지않습니다.


3)동영상을 선택합니다.


4)tracker의 track motion을 클릭합니다.


5)동영상에 motion trackers가 추가되었으며 트랙 포인트(track point)가 표시되는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6)상단의 layer 메뉴에서 새로운 null object를 생성합니다.


7)동영상의 tracker에서 edit target 을 클릭하고 null object를 선택합니다.
(track type는 transform을 선택하고 position에 체크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8)트랙 포인트의 위치와 영역을 수정합니다. 


9)영역을 중앙을 클릭, 드래그해서 위치를 이동할수있고 영역의 가장자리 코너를 클릭, 드래그해서 크기를 변형할수있습니다. 이것은 레이어의 track point 속성에서도 수정 가능합니다(feature size, search size)


10)tracker에서 analize forward 또는 analize backward를 클릭하면 현재 프레임의 전후로 트래킹을 시작합니다.


11)analize가 완료되면 트래킹 포인트의 동선을 확인할수있습니다. 


12)동영상 프레임을 이동시켜서 트래킹이 적절한지 확인한다.


13)트래킹이 부정확하면 해당 범위의 키 프레임을 선택, 삭제합니다.


14)키 프레임을 삭제한 구간에 대해서 트래킹을 재분석할수있습니다.


15)또는 각 프레임의 트래킹 포인트의 위치를 직접 수정합니다.


16)apply를 클릭하면 현재 트래킹한것을 적용시킵니다.


17)apply dimensions는 x and y를 선택하고 확인합니다.


18)타겟 오브젝트인 null 레이어의 위치 속성에 키 프레임 애니메이션이 추가된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19)null 오브젝트를 shape 레이어의 parent로 설정합니다.


16)플레이백을 실행하면 shape이 가로등을 따라서 이동하는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