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맥스에서 단면 애니메이션(Section) 만들기(슬라이스 Slice와 캡 홀 Cap holes)1)씬에 폴리곤오브젝트를 생성합니다. 2)오브젝트에 slice 수정자를 추가합니다. 3)slice 수정자 하위의 slice plane를 선택하고 슬라이스 유형을 선택합니다. 4)slice 평면을 기준으로 오브젝트에서 제거된 영역을 확인합니다. 5)오브젝트에 cap holes 수정자를 추가합니다. 6)slice에 의해 제거된 영역에서 hole의 경계(닫힌)를 표면 채우기(cap)한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7)slice plane의 위치에 키 프레임을 추가하여 단면이 있는 애니메이션을 생성합니다.
3D 맥스(Max)에서 나선형 오브젝트 모델링 예시(Helix)1)create의 shape에서 스플라인(splines)의 helix를 선택합니다. 2)뷰포트에서 helix 스플라인을 생성합니다. 스플라인 rendering을 사용한 방법(잘못된 예시)3)스플라인의 rendering에서 enable in renderer, enable in viewport에 체크하고 rectangular유형을 선택합니다. 4)직사각형 단면의 나선형 폴리곤 오브젝트를 확인할수있습니다. 5)단면이 기울어져있는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extrude와 shell을 이용한 방법 예시6)helix 오브젝트(스플라인)에 extrude 수정자를 추가합니다. 7)스플라인에서 생성된 면을 확인합니다(면의 방향이 다르면 스플라인 오브젝트를 To..
3D 맥스 adaptive degration를 활성화하여 뷰포트 성능 개선(애니메이션 재생 속도)1)기본적으로 adaptive degration는 비활성화되어있으며 (고해상도 지오메트리에 의해) 뷰포트 성능과 애니메이션 재생 속도가 느려지더라도 지오메트리의 전체 세부 정보를 표시합니다. 2)타임라인 하단의 adaptive degration를 활성화하면 뷰포트의 시각적 품질을 감소시키는 대신에 뷰포트 성능과 애니메이션 재생 속도를 개선할수있습니다. 3)adaptive degration 표시 옵션을 변경하려면 viewport configuration에서 adaptive degration의 속성 및 옵션을 설정합니다. https://help.autodesk.com/view/3DSMAX/2024/ENU/?gui..
3D 맥스(Max) 오브젝트 기즈모(gizmo) 표시되지않는 경우1)뷰포트에서 선택한 오브젝트의 기즈모가 정상적으로 표시되지않는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2)상단의 customize 메뉴에서 preferences로 이동합니다. 3)gizmos 탭에서 transform gizmos의 On이 체크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4)기즈모가 정상적으로 표시되는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5)상단의 views 메뉴에서 show transform gizmo에 체크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3D 맥스 freeze selection 회색이 아닌 오브젝트의 색상으로 표시1)뷰포트에서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후 freeze selection을 선택합니다. 2)freeze 오브젝트의 색상은 기본적으로 회색(gray)으로 표시합니다. 3)회색이 아닌 오브젝트의 색상으로 표시하려면 오브젝트를 선택 및 마우스 우클릭 메뉴에서 오브젝트 속성(object properties)으로 이동합니다. 4)show frozen in gray를 체크해제하고 확인합니다. 5)freeze 오브젝트의 색상을 회색이 아닌 오브젝트의 색상으로 표시하는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3D 맥스(Max) 마우스 휠 줌 감도 설정(wheel zoom increment)1)상단의 customize 메뉴에서 customize user interface로 이동합니다. 2)mouse 탭에서 wheel zoom increment 수치를 입력하고 저장합니다.
3D 맥스(Max) 뷰포트에서 쿼드메뉴 단축키 몇가지(오브젝트 생성, 명령어 검색, 기타)1)뷰포트(viewport)에서 키보드 단축키 ctrl+ 마우스 우클릭하면 쿼드메뉴(primitives)에서 기본 오브젝트(Plane, Box, Sphere, Line등)를 선택하고 생성할수있습니다. 2)단축키 x를 입력하면 현재 선택한 오브젝트에 대해 적용할수있는 모든 액션 및 명령어를 검색할수있습니다. 3)폴리곤 오브젝트에 적용할 shell 수정자를 입력하고 선택합니다. 4)단축키 alt + 마우스 우클릭하면 쿼드메뉴(coordinates)에서 선택가능한 오브젝트의 좌표계를 표시합니다(기본값 - world) 5)단축키 v를 입력하면 쿼드메뉴(viewports)에서 현재 선택한 뷰포트에 사용할수있는 모든 뷰(vie..
3D 맥스 스크립트 MAXScript 이해 및 설치에 대한 글(ms, mcr, mzp,기타)Script Installation in 3ds max https://www.scriptspot.com/3ds-max/tutorials/script-installation-in-3ds-maxMAXScript의 발전은 스크립트 활용도를 높여 3ds Max 사용자 경험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MAXScript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것은 간단하지만 파일형식에 따라서 방법의 차이가있습니다.MAXScript는 3D Studio Max 1.x용 플러그인으로 개발되었지만 Max 2.0부터 정식 기능으로 포함됨 초기에는 .MS 파일만 지원하며 "Run Script" 명령으로만 실행이 가능했지만 Max 3부터 사용자 정의 인터페이스..
3D 스캔 포인트 클라우드 동영상 레퍼런스 모음https://youtu.be/U4TwkRWxfD0 https://youtu.be/qX7mGyg-Wwc https://youtu.be/Jw6gcmO0i5A https://youtu.be/dAmcGljAYV0
3D MAYA의 블렌드쉐잎(blend shape)을 사용하여 제작한 피는 꽃 애니메이션 3D 마야의 블렌드쉐잎(blend shape)을 사용하여 제작한 3D 꽃 애니메이션
3D 마야(MAYA) Parameter와 Parameterization(uniform, chord length) Parameter 3D 마야에서 넙스 커브의 파라미터(Parameter)는 커브 위에 존재하는 포인트의 위치를 나타내는 값(Value)으로 값이 클수록 곡선의 시작점에서 먼곳에 존재합니다. 파라미터를 사용하면 곡선의 길이에 따라서 특정한 포인트를 참조할수있습니다. Parameterization(uniform, chord length) Parameterization는 파라미터(Parameter)를 나타내는데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마야에 두가지 Parameterization가 있으며(Uniform, Chord length) 새로운 커브를 생성할때 CV Curve Tool 또는 EP Curve To..
3D 마야(MAYA)에서 인풋 노드(inputs)를 포함하여 오브젝트 복사하는 방법 1)씬에 폴리곤 오브젝트를 생성합니다. 2)폴리곤 오브젝트의 인풋 노드가 존재하는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3)일반적인 방법으로 오브젝트를 복사합니다(duplicate, ctrl+d) 4)복사한 오브젝트의 인풋 노드가 존재하지않는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5)인풋 노드를 포함하여 오브젝트를 복사하면 duplicate special로 이동합니다. 6)duplicate input graph 옵션에 체크하고 적용합니다. 7)인풋 노드(inputs)를 포함하여 오브젝트를 복사한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