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티 캐시 및 임시 데이터 저장 폴더 종류(Library, Temp, Logs, gradle caches등)Library 폴더 프로젝트에 텍스처, 3D 모델, 오디오, 사용자스크립트등의 에셋(Assets)을 가져오기할때(import) 유니티는 각 에셋을 에디터에 최적화된 형태로 변환하고 스크립트를 컴파일합니다. Library 폴더는 가져오기한 에셋 데이터, 메타데이터등의 캐시된 데이터를 관리하는데 사용됩니다.Library 폴더를 삭제하고 프로젝트를 다시 열기할때 에셋을 다시 임포트하고 스크립트를 컴파일하는등 필요 데이터를 재생성하는 시간이 소요될수있습니다(일반적으로 프로젝트를 백업할때 Library 폴더 삭제가능) Logs 폴더Unity가 실행되는 동안 발생하는 로그 파일을 저장하는 폴더입니다. 로그..
유니티(Unity)와 언리얼(Unreal)에서 사용하는 유사한 개념 다른 용어 모음기본 용어 GameObject (유니티) - Actor (언리얼) Transform (유니티) - Transform (언리얼) Component (유니티) - Component (언리얼) Scene (유니티) - Level (언리얼) Prefab (유니티) - Actor Blueprint (언리얼) Script (유니티) - Blueprint / C++ Class (언리얼) Particle System (유니티) - Niagara / Cascade (언리얼) Terrain (유니티) - Landscape (언리얼) Unity UI (유니티) - UMG (언리얼) 에디터 용어 SceneView (유니티) - Viewport ..
유니티에서 HDR과 톤맵핑(Tonemapping) 사용하기HDRHDR(High Dynamic Range)는 [0,1] 범위(0~255, 8비트)에서 색상을 표현하는 SDR(Standard Dynamic Range)에 비해 훨씬 더 넓은 색상 범위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16 비트 부동 소수점 컬러 값) HDR를 사용하면 밝거나 어두운 영역에서 컬러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있습니다(특히 밝은 영역. 사람의 눈은 밝은 쪽의 밝기보다 어두운 쪽의 밝기 차이에 더 민감하게 반응) 유니티에서 HDR를 사용하려면 카메라 또는 렌더파이프라인 에셋에서 HDR를 활성화합니다.(HDR를 사용하는 경우 조명을 일반적인 밝기 값보다 크게 설정하여 더 넓은 밝기 범위를 사용하는것을 권장합니다) 톤맵핑(Tonemapping)톤..
유니티 URP 프로젝트에서 볼륨메트릭 조명 효과(Unity-URP-Volumetric-Light)URP에서 메인 및 추가 조명(Directional, Spot, Point)에 대한 볼륨메트릭 라이트 렌더링을 지원하는 패키지입니다. (Unity 2022.3, 2023.1, 2023.2 or Unity 6) 1)아래 깃허브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Unity-URP-Volumetric-Light 유니티 패키지를 다운로드 및 설치합니다(패키지 관리자) https://github.com/CristianQiu/Unity-URP-Volumetric-Light GitHub - CristianQiu/Unity-URP-Volumetric-Light: Unity package for versions 2022.3 and Uni..
유니티 PC Standalone(IL2CPP) 빌드 오류 문제해결1)유니티 PC Standalone(IL2CPP) 빌드에서 다음 오류가 발생합니다.internal build system error. BuildProgram exited with code 1.error: Could not set up a toolchain for Architecture x64. Make sure you have the right build tools installed for il2cpp builds. Details: IL2CPP C++ code builder is unable to build C++ code. in order to build C++ code for windows desktop, you must have one..
유니티(Unity) 비주얼 이펙트 그래프에서 블록(Block) 추가 속성 표시1)비주얼 이펙트 그래프에서 파티클의 노드 블록을 추가합니다. 블록 추가에서 추가할 속성을 검색합니다(set lifetime) 2)set lifetime 우측에 표시한곳을 클릭하면 추가 속성을 표시합니다(set lifetime from source, set lifetime random uniform)
유니티(Unity)에서 Scoped 레지스트리 추가하고 패키지 설치하기프로젝트에 Scoped registries(범위가 지정된 레지스트리)를 추가하면 패키지 관리자에서 해당 사용자 정의 패키지 컬렉션에 액세스할수있습니다.1)프로젝트 설정(project settings)의 package manager에서 Scoped registries 정보를 입력하고(Name, URL, Scope) 적용합니다(apply) 2)패키지 관리자의 my registries에서 추가한 레지스트리를 확인할수있으며 해당 레지스트리 및 패키지 콜렉션 제공자(Keiijiro)의 모든 공개 패키지를 설치할수있습니다. 패키지가 표시되지않거나 검색에서 누락되는 경우3)패키지 관리자 상단 좌측에서 install package by name을 ..
유니티(Unity) 에디터 및 게임 백그라운드 실행(Run In Background)1)기본적으로 애플리케이션(에디터 및 게임)이 백그라운드(Background)에 있을 때 플레이어는 실행 중지됩니다. 2)에디터를 백그라운드에서도 실행하려면 프로젝트 설정(project settings)의 플레이어(player)에서 Run In Background에 체크합니다. 3)게임을 실행하고 에디터가 백그라운드에 있어도 일시 중지되지않습니다.
유니티(Unity) 모든 대상 플랫폼에 대하여 렌더러 기능 추가 및 속성 설정 참고프로젝트의 렌더러 속성 및 기능을 대상 플랫폼에 따라서 동일하게 또는 차별적으로 설정해야합니다. 1)프로젝트 설정(project settings)의 그래픽(graphics)에서 프로젝트에 사용중인 렌더 파이프라인 에셋을 확인합니다. 2)Settings 폴더에서 대상 플랫폼에 따라서 설정할수있는 URP 에셋 및 렌더러를 확인합니다. 3)프로젝트 설정의 품질(quality)에서 대상 플랫폼 수준(Levels)에 대해서 설정한 URP 에셋 및 렌더러를 확인합니다.현재 유니티 에디터에서 performant 수준을 사용중이며 해당 URP 에셋 및 렌더러의 속성을 설정합니다. 4)렌더러 기능을 추가하려면 add renderer f..
유니티(Unity)에서 특정한 쉐이더의 재질을 생성하는 방법1)프로젝트의 에셋(Assets) 폴더에서 새로운 쉐이더를 생성합니다. 2)특정한 쉐이더를 사용하는 재질을 생성하려면 해당 쉐이더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한후 create의 material을 선택합니다. 3)해당 쉐이더를 사용하는 재질을 생성한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게임에서 경로 찾기(Pathfinding) 알고리즘 종류 - 다익스트라 , A*, D*, 기타게임에서 경로 찾기 알고리즘(Pathfinding algorithms)은 주로 게임 내 캐릭터가 목표 지점에 도달하기 위해 장애물을 피하면서 최적의 경로를 찾는 데 사용됩니다. Pathfinding https://en.wikipedia.org/wiki/Pathfinding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Dijkstra's Algorithm)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최단 경로 찾기에 사용되는 알고리즘으로 모든 노드에 대해 시작점에서부터의 거리를 계산하고 가장 짧은 거리를 가지는 노드를 계속해서 선택하여 경로를 확장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A* 알고리즘의 간단한 버전으로 A*와 달리 휴리스틱을 사용하지 않으며 모든 노드에 대해..
유니티(Unity) 씬에서 특정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검색 및 필터링(Hierarchy, Type)1)씬(Scene)이 다양한 유형의 컴포넌트 및 사용자 스크립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로 구성되어있습니다. 2)특정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만 표시하려면 Hierarchy의 아래 표시한곳을 클릭하고 Type으로 변경합니다. 3)컴포넌트 또는 사용자 정의 스크립트 이름을 검색하면 해당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만 표시합니다.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