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비 애트모스(Dolby Atmos) 객체 기반 오디오와 3D 공간 음향

반응형

돌비 애트모스(Dolby Atmos) 객체 기반 오디오와 3D 공간 음향

돌비 애트모스, 돌비 애트모스 오디오 코덱, 메타데이터, 돌비 애트모스 플러그인, 기타
https://en.wikipedia.org/wiki/Dolby_Atmos

 

 

돌비 애트모스

돌비 애트모스(Dolby Atmos)는 영화, TV, 음악, 게임 등에서 보다 몰입감 있는 오디오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사운드 기술. 일반적인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은 5.1채널 또는 7.1채널을 사용하여 특정한 스피커의 위치에 따라서 음향을 재생하는 반면 돌비 애트모스는 "객체 기반" 오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음향을 특정 위치나 공간 안에서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방식을 사용.

객체 기반 오디오와 3D 공간 음향

기존의 채널 기반 시스템에서는 오디오가 특정 채널을 통해 전달되지만 돌비 애트모스는 개별 사운드 "객체"를 정의하여 그 객체가 어느 위치에 배치될지 정할 수 있음(예를 들어 비행기가 머리 위로 지나가는 소리를 정확히 재현)
소리가 위, 아래, 좌우를 포함한 모든 방향(360도 방향으로 다채롭게 분포)에서 들리기 때문에 청취자는 마치 소리가 실제 공간 안에서 움직이는 듯한 느낌을 받음(3D 공간 음향)


다양한 장치에서 돌비 애트모스를 지원하는 콘텐츠가 증가하고있음(TV, 사운드바, 영화관, 스마트폰, 게임 콘솔, 스트리밍 서비스)
애트모스 지원 시스템(AV 리시버, 스피커, 블루레이플레이어, 헤드폰, TV, 사운드바)

 

돌비 애트모스 몰입형 음향 듣기
https://www.dolby.com/ko/atmos-visualizer-music/

 

Dolby Atmos Visualizer Music - Dolby - Dolby

 

www.dolby.com

 

 

돌비 애트모스 코덱과 메타데이터

DOLBY TrueHD
무손실 압축 오디오 코덱으로 고해상도 비디오 미디어(블루레이, UHD, 4K 스트리밍 서비스 등)에서 흔히 사용
이 코덱은 원본 오디오 트랙을 그대로 압축하지 않으므로 음질 손실이 없이 최상의 오디오 품질을 제공. 원본 스튜디오 녹음과 거의 동일한 품질을 유지
돌비 애트모스는 이 무손실 압축 코덱과 결합되어 3D 오디오 경험을 더욱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음. 

Dolby Digital Plus 
손실 압축 오디오 코덱으로 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 또는 TV 방송에서 널리 사용.
손실 압축은 파일 크기를 줄이는 대신 일부 음질이 손실되지만 매우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압축할 수 있어 스트리밍 환경에서 매우 적합.돌비 디지털 플러스는 돌비 애트모스 오디오를 지원하면서도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저용량으로 고품질 오디오를 전달할 수 있음. Netflix, Disney+, Amazon Prime Video 같은 플랫폼에서 돌비 애트모스를 지원하는 콘텐츠에 사용

돌비 애트모스 메타데이터
메타데이터는 돌비 애트모스의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 애트모스는 객체 기반 오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소리를 특정 위치에 배치하고 이동시킬 수 있는데 이 정보는 메타데이터에 포함(오디오 객체의 위치, 이동 경로, 소리의 방향성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
이 데이터를 통해 오디오가 3D 공간 내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 정확하게 재생할 수 있음.예를 들어 영화에서 비행기가 화면 상단을 가로질러 날아갈 때 애트모스 메타데이터는 그 소리가 위쪽에서 관객의 머리 위를 지나가도록 오디오 객체(비행기)의 위치, 이동 경로, 소리의 방향성 등을 정의하여 3D 공간 음향이 정확하게 재현
이 메타데이터는 Dolby TrueHD 또는 Dolby Digital Plus와 결합되어 함께 전달. 

 


돌비 애트모스 오디오 제작 방법

-고급 디지털 오디오 제작 소프트웨어 및 워크스테이션(DAW)인 Pro Tools 또는 Logic Pro을 사용(고해상도 오디오 제작과 믹싱에 많이 사용)
-돌비 애트모스 플러그인(Dolby Atmos Production Tools, Dolby Atmos Renderer, Dolby Atmos Music Panner등)을 사용하여 객체 기반 오디오를 처리(객체 기반 믹싱과 메타데이터 삽입등) 오디오 객체는 개별 사운드로 영화나 게임의 각 요소에 대해 위치와 이동 경로를 지정(각 오디오 객체의 위치를 정의하고 그 객체가 특정 시간 동안 어떻게 이동할지를 지정)
-오디오를 돌비 애트모스 포맷(Dolby TrueHD, Dolby Digital Plus)으로 출력. 이 과정에서 오디오 믹스(또는 트랙)과 메타데이터가 함께 포함된 파일이 생성(멀티채널 오디오로 저장)
-후처리 및 마스터링을 통해 오디오 최적화
-미디어에서 사용 및 돌비 애트모스 효과를 구현. 예를들어 Blu-ray 디스크에 포함된 돌비 애트모스 콘텐츠는 오디오 믹스와 메타데이터가 포함된 오디오 파일을 TrueHD 또는 Dolby Digital Plus 포맷으로 출력

 

Dolby Atmos Renderer
https://professional.dolby.com/product/dolby-atmos-content-creation/dolby-atmos-renderer/#gref
Dolby Atmos Music Panner
https://professional.dolby.com/product/dolby-atmos-content-creation/dolby-atmos-music-panner/#gref




 

현장에서의 3D 사운드를 캡처하려면 여러 채널과 특수한 마이크 배열이 필요(Ambisonic 또는 Binaural 마이크를 사용하여 3D 사운드를 캡처가능)
기술적 제약과 목적에 따른 최적화 때문에(위치와 이동 경로의 유연성, 객체 간의 독립성등) 사운드를 스테레오나 모노로 녹음 후 이를 객체 기반 오디오로 변환하는 방법을 사용

 


기타

https://www.dolby.com/ko/technologies/dolby-atmos/#gref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