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입체 영상 만드는 방법(색 필터 안경을 사용한 아나글리프 방식)

반응형

3D 입체 영상 만드는 방법(색 필터 안경을 사용한 아나글리프 방식)

색 필터 안경을 사용하여 입체감을 확인할수있는 아나글리프 방식 3D 입체 영상을 만드는 두가지 방법(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사용한 방법, 단일 영상을 사용한 방법)

3D 입체영상 원리와 두가지 방식(스테레오스코픽, 아나글리프) 

https://support.apple.com/en-sg/guide/final-cut-pro/ver11c2f8496/mac

 

스테레오스코픽 렌더링(Stereoscopic Rendering)된 영상으로 만드는 방법

1-스테레오스코픽 렌더링된 이미지를 준비합니다(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생성)

실시간 엔진(유니티, 언리얼) 및 3D 프로그램에서 장면과 카메라를 구성하고 스테레오스코픽 렌더링합니다.
이 방법은 왼쪽 눈 카메라와 오른쪽 눈 카메라를 조금 떨어진 위치에 배치(양쪽 눈의 위치 차이를 반영)하여 동일한 장면을 약간 다른 시점으로 렌더링한 두개의 이미지를 생성할수있습니다.

두 이미지에서 사물의 오프셋

씬에서 사물이 카메라에서 가까울수록 좌/우 이미지 사이의 위치 차이(오프셋)가 커지고 멀수록 위치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이것은 자연스러운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의 구현이며 결과적으로 입체감이 만들어낼수있습니다.
2-두 영상의 색상 채널을 설정합니다.
좌측 영상 (빨간색 채널)  - 영상에서 빨간색(Red) 채널만 활성화. 녹색(G)과 파란색(B) 채널을 비활성화
우측 영상 (청록색 채널)  - 영상에서 청록색(Cyan, 녹색+파란색 채널)만 활성화. 빨간색(R) 채널을 비활성화.
3-최종적으로 영상을 합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출력합니다. 
아나글리프 안경(빨간색-청록색 필터 안경)을 사용하여 3D 입체 효과 영상을 확인할수있습니다.

 

단일 영상으로 만드는 방법

1-단일 영상의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준비합니다(동일한 영상)
2-두 영상의 색상 채널을 설정합니다.
좌측 영상 (빨간색 채널)  - 영상에서 빨간색(Red) 채널만 활성화. 녹색(G)과 파란색(B) 채널을 비활성화
우측 영상 (청록색 채널)  - 영상에서 청록색(Cyan, 녹색+파란색 채널)만 활성화. 빨간색(R) 채널을 비활성화.
3-두 영상의 오프셋을 설정합니다(입체적으로 표현할 대상을 선택하고 오프셋을 적용) 
4-최종적으로 영상을 합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출력합니다. 
아나글리프 안경(빨간색-청록색 필터 안경)을 사용하여 3D 입체 효과 영상을 확인할수있습니다.


https://youtu.be/Mtmp7WcL-dQ

 

https://youtu.be/LMUI6U-ixoY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