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촬영에서 숏(Shot)의 종류와 특징 정리 - 클로즈업, 미디엄 숏, 풀 숏, 롱 숏, 기타

반응형

영화 촬영에서 숏(Shot)의 종류와 특징 정리 - 클로즈업, 미디엄 숏, 풀 숏, 롱 숏, 기타

필드 크기(field size)는 피사체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카메라-피사체 거리)와 렌즈의 초점 거리에 의해 결정되며 카메라의 화각 내에서 피사체와 주변 환경이 보이는 정도를 설명합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Shot_(filmmaking)

1)익스트림 롱 숏 (Extreme Long Shot) - 광활한 배경이나 장소를 보여주어 장면의 스케일을 강조합니다(장대한 풍경과 파노라마)

 

 

2)롱 숏/와이드 숏 (Long Shot/Wide Shot) - 인물 전체와 주변 환경을 함께 담아 인물과 배경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3)풀 숏 (Full Shot) -  인물의 전신을 프레임에 담아 인물의 움직임과 자세를 강조합니다.

 

 

4)미디엄 롱 숏 (Medium Long Shot) -  프레임에 인물의 무릎 위를 담아 인물과 주변 환경을 균형 있게 보여줍니다.

American shot (3/4 shot) - 1930~1940년대 미국 서부 영화(Western)에서 인물의 권총집이 프레임 하단에 걸쳐 보이도록 촬영한 구도가 특징인 숏. 프랑스 영화 비평가들에 의해 '카우보이 숏' 또는 ‘아메리칸 숏’이라 불리게됨

 

 

5)미디엄 숏 (Medium Shot) - 프레임에 인물의 허리 위를 담아 대화나 행동을 중심으로 표현합니다.

6)미디엄 클로즈업 (Medium Close-Up) - 인물의 가슴 위를 담아 표정과 감정을 강조합니다

(클로즈업보다 어깨가 더 많이 보이는 경우)

 

 

7)클로즈업 (Close-Up): 인물의 얼굴을 중심으로 담아 감정과 반응을 세밀하게 표현합니다(어깨선이 보이는 경우)
8)익스트림 클로즈업 (Extreme Close-Up): 눈, 입 등 특정 부위를 강조하여 극적인 효과(프레임이 피사체의 턱과 이마에서 끝나는 경우)

 

 

기타

https://en.wikipedia.org/wiki/Medium_shot

 

https://en.wikipedia.org/wiki/Two_shot

 

https://en.wikipedia.org/wiki/Close-up

 

Ultimate Guide to Camera Shots

https://youtu.be/AyML8xuKfoc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