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GIS에서 수치지도를(shp) 사용하여 등고선의 지표면 이미지 만들기(TIN Interpolation)

반응형

QGIS에서 수치지도를(shp) 사용하여 등고선의 지표면 이미지 만들기(TIN Interpolation)

수치지도는 지표면의 지형, 지물(건물, 도로, 하천 등), 행정경계 등을 디지털 데이터로 수치화하여 컴퓨터에서 처리, 분석, 표현할 수 있게 만든 지도입니다. 수치지도는 점(point), 선(line), 면(polygon)으로 표현되는 벡터 데이터(Vector Data), 속성 데이터(Attribute Data), 좌표계(Coordinate System) 등으로 구성됩니다.

국토지리정보원의 국토정보플랫폼에서 대상 지역의 수치지도를 무료로 제공하며 다운로드할수있습니다.

1)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웹사이트로 이동하여 지도에서 지역 및 주소를 검색합니다.
https://map.ngii.go.kr/ms/map/NlipMap.do

 

2)검색결과에서 수치지형도 Ver2(SHP, NGI)를 선택하고 대상 지역을 확인 및 다운로드합니다.

 

3)다운로드한 수치지도 파일 목록을과 수치지도 파일 구성을 확인합니다(cpq, dbf, prj, shp, shx)

 

 

4)아래 웹사이트에서 수치지도 파일명 및 ID와 지형지물 속성 목록을 확인할수있습니다.

https://www.law.go.kr/LSW/admRulBylInfoP.do?directYn=Y&admFlag=1&bylSeq=1998433&admRulSeq=2100000178725

 

등고선을 표현하는 수치지도 아이디(ID)는 F0010000 입니다.

 

5)QGIS 상단의 layer 메뉴에서 add layer 의 add vector layer를 선택합니다.

 

6)벡터 레이어 추가의 소스(source)에서 수치지도의 shp 파일을 선택하고 추가합니다(add)

 

7)벡터 레이어가 추가되었으며 선(line)으로 표현되는 등고선을 확인할수있습니다.

속성 테이블에서 등고선 단위 수치를 확인가능

1:1,000 (1m 단위), 1:5,000 (5m 단위), 1:25,000 (10m 단위), 1:50,000 지형도(20m 단위)

 

 

TIN interpolation를 사용하여 등고선 표면 시각화

8)Processing Toolbox에서 TIN interpolation을 열기합니다.

TIN(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Interpolation은 점(Point) 데이터(고도, 수심 등)를 기반으로 지표면과 같은 연속적인 표면(Surface)을 만들어내는 방법입니다. 고도점 또는 샘플링된 좌표 데이터를 입력값으로 각 점들을 연결해 삼각형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생성하고(Triangulated  Network) 표면을 시각화합니다.

 

9)vector layer에서 등고선 레이어를 선택하고 interpolation attribute에서 등고수치를 선택합니다.
하단의 +버튼을 클릭하면 목록에 Points 타입(Type)의 벡터 레이어를 추가합니다.

 

10)Extent에서 set to current map canvas extent를 클릭하고 Pixel size X, Y 수치를 입력합니다.

 

또는 Calculate from layer의 등고선 레이어를 선택합니다.

 

11)Run을 클릭하면 TIN Interpolation를 사용하여 등고선 데이터를 시각화 및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12)새로운 래스터 레이어가 추가되었으며 등고선 시각화 이미지를 확인할수있습니다.

 

이미지 해상도 설정
13)예에서 확대한 등고선 이미지가 저해상도인것을 확인할수있니다.

 

14) TIN interpolation에서 Pixel Size X, Y 수치를 낮추고 실행합니다(Run)

 

15)등고선 이미지 해상도가 높아진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등고선 이미지 파일 저장하기
16)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레이어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한후 export의 save as를 선택합니다.

 

17)save raster layer as에서 상단의 rendered image를 선택하고 포맷 및 파일 이름을 설정하고 확인합니다(geoTIFF, .tif)

 

18)저장한 파일을 포토샾 및 2D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에서 열기해서 확인합니다.

 

 

포토샾에서 geoTIFF 이미지를 사용하여 Raw 파일 만들기(유니티 터레인 높이맵, heightmap)
19)상단의 image 메뉴에서 mode의 grayscale, 16 bits/channel에 체크합니다.

 

20)이미지 해상도를 설정합니다(유니티 height map의 권장 해상도는 2의 n승 +1)

 

21)이미지를 Photoshop Raw(.RAW) 파일 형식으로 저장합니다.

 

22)파일 저장 옵션의 바이트 순서(Bite Order)에서 IBM PC를 선택하고 저장합니다.

 

 

23)유니티 엔진에서 씬에 터레인(terrain)을 생성하고 설정(settings)로 이동합니다.

 

24)texture resolutions에서 import raw를 클릭하고 RAW 파일을 가져오기합니다.

 

25)RAW 파일을 높이맵(height map)으로 사용하여 터레인의 높이를 생성한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