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사진 및 레퍼런스 모음(두산백과) 출처 - 두산백과 https://www.doopedia.co.kr/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82839&cid=40942&categoryId=32346
3D맥스에서 도로 모델링하기4 - 곡선형태의 차선 만들기(실선) 1)아래와 같이 3개의 정점으로 구성된 라인을 생성한다. 2)라인 오브젝트의 모든 정점을(vertex) 선택하고 corner 유형으로 설정한다. 3)라인 오브젝트를 이동시켜 곡선 차선의 위치를 설정한다. 4)라인에서 아래 표시한 정점을 선택한다. 5)fillet을 사용하여 라인을 곡선으로 만든다. 6)라인 오브젝트의 interpolation에서 steps 수치를 확인한다. 7)스플라인 보간법에 의하여 정점과 정점의 사이가 6단계로 이루어져있는것을 확인할수있다. 8)곡선의 해상도를 높이기위해 steps 수치를 높인다. 9)곡선의 스플라인을 선택하고 outline을 사용하여 차선을 추가한다. 10)시작과 끝에 생성된 edge를 제거한다. 11)..
3D맥스에서 도로 모델링 하기1 - 유닛셋업, 카메라와 라이트 설정 1)유닛 셋업을 설정한다(unit setup, meters) 2)씬에 plane을 생성한다. 예에서 plane의 크기를 150m, 800m로 설정하였다. 3)plane의 재질에 도로의 색상을 설정한다. 4)씬에 카메라를 추가한다. 5)카메라의 초점 거리를 설정한다. 예에서 50mm로 설정하였다. 6)뷰포트에서 카메라 뷰를 선택하고 카메라의 위치를 조절하여 레이아웃을 설정한다. 7)씬에 라이트를 추가한다. 8)조명 타입으로 directional light를 선택하고 그림자를 활성화한다. 9)environment에서 배경의 색상을 하늘색으로 설정한다.
도로 정션(junction) - 교차로, 나들목, 인터체인지, 합류점, 기타정션(junction)은 도로 교통 시스템에서 두 개 이상의 도로가 만나 교차하거나 합쳐지는 지점을 의미합니다. 정션은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며 교통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다양한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중요한 지점입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Road_junction도로가 많아지고 교통량이 늘어나면서 여러 도로가 만나는 교차로에서의 차량 흐름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교통 지연이 발생하거나 사고의 위험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잘 설계된 정션은 교통 혼잡을 줄이고 안전하게 차량이 이동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정션의 유형정션은 도로가 같은 고도..
도로의 구성요소(차로, 차선, 보도, 횡단보도, 교차로, 안전지대, 안전표지, 중앙선, 중앙분리대, 기타) 차도자동차의 통행에 사용되며 차로로 구성된 도로의 부분 차로(lane)차가 도로의 정해진 부분을 한줄로 통행하도록 차선으로 구분되는 차도의 부분. 차로의 폭은 차선의 중심선에서 인접한 차선의 중심선까지의 거리입니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구분, 설계속도 및 지역에 따라서 차로의 최소폭은 다음과 같습니다https://www.kcsc.re.kr/StandardCode/Viewer/261#title-38(국가건설기준센터, 횡단면설계 KDS 44 20 05 :2018) 차선차로의 경계를 표시하는 선으로 안전하고 질서 있는 차량 흐름을 유도합니다(황색 복선, 백색 점선, 백색 실선, 청색 실선등) 중앙분리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