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티 텍스처(Texture) 객체 생성과 제거 예시(메모리 할당과 해제)new 키워드를 사용하여 런타임에서 동적으로 생성한 객체의 경우텍스처가 불필요하면 명시적으로 객체를 파괴하고 참조를 해제합니다.Texture2D texture = new Texture2D(2, 2); if (texture != null) { Destroy(texture); texture = null; } Destroy(texture);객체는 메모리에서 즉시 해제되지않습니다. 메모리에서 객체가 실제로 해제되는 시점은 가비지 컬렉터( GC)가 이 객체를 수거할 때입니다. texture = null;객체에 대한 참조가 더 이상 없기 때문에 이 객체는 GC의 수거 대상이됩니다. 객체를 수거하는 시점은 GC 의 주기에 따라..
유니티(Unity) 사용자 데이터 파일 저장 사용법 문서 모음(Persistent Player Data)Persistent Data – How to save your game states and settings https://youtu.be/uD7y4T4PVk0 Persistence: Saving and Loading Data https://learn.unity.com/tutorial/persistence-saving-and-loading-data?language=en#saving persistent player data in unity https://learn.unity.com/project/saving-persistent-player-data-in-unity?language=enoverview an..
유니티(Unity) 플랫폼 목표 프레임 속도 설정 Application.targetFrameRateApplication.targetFrameRate는 유니티가 게임 렌더링을 시도하는 목표 프레임 속도를 지정합니다. 정수 > 0 또는 -1(기본값) 유니티의 기본 targetFrameRate 값은 -1입니다. 이것은 게임이 플랫폼의 기본 프레임속도(default frame rate)로 렌더링되어야한다는것을 의미합니다. 기본 프레임 속도는 플랫폼에 따라서 상이합니다. 데스크톱기본 프레임 속도(default frame rate)는 달성 가능한 최대 프레임속도입니다(동기화되지 않은 상태로 렌더링)QualitySettings.vSyncCount를 0으로 설정한 경우 Application.targetFrameR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