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티(Unity) 모든 대상 플랫폼에 대하여 렌더러 기능 추가 및 속성 설정 참고프로젝트의 렌더러 속성 및 기능을 대상 플랫폼에 따라서 동일하게 또는 차별적으로 설정해야합니다. 1)프로젝트 설정(project settings)의 그래픽(graphics)에서 프로젝트에 사용중인 렌더 파이프라인 에셋을 확인합니다. 2)Settings 폴더에서 대상 플랫폼에 따라서 설정할수있는 URP 에셋 및 렌더러를 확인합니다. 3)프로젝트 설정의 품질(quality)에서 대상 플랫폼 수준(Levels)에 대해서 설정한 URP 에셋 및 렌더러를 확인합니다.현재 유니티 에디터에서 performant 수준을 사용중이며 해당 URP 에셋 및 렌더러의 속성을 설정합니다. 4)렌더러 기능을 추가하려면 add renderer f..
유니티(Unity)에서 특정한 쉐이더의 재질을 생성하는 방법1)프로젝트의 에셋(Assets) 폴더에서 새로운 쉐이더를 생성합니다. 2)특정한 쉐이더를 사용하는 재질을 생성하려면 해당 쉐이더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한후 create의 material을 선택합니다. 3)해당 쉐이더를 사용하는 재질을 생성한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유니티(Unity)에서 옷감(Cloth) 시뮬레이션 기초 사용법 튜토리얼3D 캐릭터의 의상 물리 효과(Cloth Physics)를 적용하기위해 Cloth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기초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Cloth의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옷감의 신축성, 마찰력, 중력 작용 등을 조절하고 충돌 처리와 기타 제약 조건을 설정하여 사실적인 의상 물리 효과 및 옷감 시뮬레이션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Cloth는 Skinned Mesh Renderer와 함께 작동하여 패브릭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물리 기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Getting Started With Cloth Physics https://youtu.be/Nc_ZMgEFj-A Cloth https://docs.unity3d.com/Manual/class..
유니티(Unity) 씬에서 특정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검색 및 필터링(Hierarchy, Type)1)씬(Scene)이 다양한 유형의 컴포넌트 및 사용자 스크립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로 구성되어있습니다. 2)특정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만 표시하려면 Hierarchy의 아래 표시한곳을 클릭하고 Type으로 변경합니다. 3)컴포넌트 또는 사용자 정의 스크립트 이름을 검색하면 해당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만 표시합니다.
유니티(Unity)에 가져오기한 3D 모델 노말 계산(스무싱 그룹, Smoothing Angle)1)3D 프로그램에서 3D 모델의 지오메트리를 확인합니다. 2)폴리곤 편집에서 모든 폴리곤의 스무싱 그룹(Smoothing Groups)를 제거합니다(Clear All) 3)유니티에서 3D 모델을 가져오기합니다(import) 4)모델의 import settings에서 Noarmals이 Import로 설정되어있는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기본 옵션인 import는 모델의 파일에서 노멀(normal)을 가져오기합니다. 5)normals를 calculate로 변경합니다. Calculate는 Normals Mode, Smoothness Source, Smoothing Angle에 기반하여 노멀을 계산합니다. Smooth..
유니티 터레인(Unity Terrain) 오류 문제해결 모음페인트 텍스처 계단현상 1)터레인에서 paint texture를 사용하여 페인팅한 텍스처가 혼합 (blend) 되지않으며 계단현상이 발생하는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2)터레인 오브젝트의 paint texture의 Terrain에서 enable height -based blend 속성이 체크되어있는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3)enable height -based blend의 height transition을 조절하거나 enable height -based blend 속성을 체크해제합니다. 4)터레인 페인트 텍스처가 혼합되고(blend) 계단현상이 발생하지않는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실행 취소를 생성하는데 실패 (Failed to create Objec..
유니티 Google.IOSResolver.dll will not be loaded 에러 문제해결1)유니티에서 프로젝트에 새로운 플러그인을 설치했을때 다음 오류를 표시합니다.Assembly Google.IOSResolver.dll will not be loaded due to errors:unable to resolve reference 'UnityEditor.iOS.Extensions.Xcode'. is the assembly missing or incompatible with the current platform? UnityEditor.iOS.Extensions.Xcode 참조를 해결할 수없어 오류가 발생하며 Google.IOSResolver.dll 어셈블리를 로드할수없습니다. 2)일반적으로 현재 프..
유니티(Unity) 리지드 바디 설명(Rigidbody)리지드바디(Rigidbody)는 게임오브젝트가 물리엔진의 통제하에 놓이도록합니다. 리지드바디는 게임오브젝트가 사실적으로 움직이도록 힘(Force)과 토크(Torque)를 받을수있습니다. 어떤 오브젝트가 중력의 영향을 받거나 스크립팅을 통해 힘이 가해지거나 다른오브젝트와 상호작용하기위해서 리지드바디를 가져야합니다.이것은 사실적인 충돌, 다양한 타입의 조인트 행위를 위한 시작입니다. 리지드바디에 힘을 가함으로써 게임오브젝트를 조작(manipulate)하면 트랜스폼 컴포넌트를 직접 조작하는것보다 더 다양하고 사실적인 느낌의 움직임을 만들어낼수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오브젝트의 리지드바디와 트랜스폼을 동시에 조작하는것은 추천되지않습니다. 둘의 가장 큰 ..
유니티(Unity) 물(Water) 쉐이더 및 시뮬레이션 제작 에셋 추천 모음(바다, 강, 호수, 기타)유니티에서 바다, 강, 호수, 수영장등 다양한 종류의 고품질 물 시뮬레이션 제작에 사용할수있는 에셋 추천 모음 렌더파이프라인 호환성(빌트인, URP, HDRP)과 지원 플래폼(모바일, PC, 콘솔, VR, WebGL)을 확인Stylized Water 2 https://assetstore.unity.com/packages/vfx/shaders/stylized-water-2-170386https://youtu.be/BRRejyG5Vtc Underwater Rendering for Stylized Water 2 (Extension) https://assetstore.unity.com/packages/vfx/..
유니티(Unity)에서 애니메이터(Animator) 상태 전환 기본1)프로젝트에서 애니메이터 컨트롤러(animator controller)를 생성합니다. 2)상단의 window 메뉴에서 animation의 animator를 선택합니다. 3)애니메이터(animator) 윈도우에서 가장 최근에 선택한 애니메이터 컨트롤러(.controller) 에셋의 상태 머신(state machine)을 표시하며 기본적으로 상태 머신 전환에 사용되는 기본 노드인 진입 및 종료 노드를 확인할수있습니다(Entry ,Exit , any state) 애니메이터 윈도우 단축키단축키 alt + 마우스 좌클릭 이동(또는 마우스 중클릭) - 이동단축키 alt + 마우스 우클릭 이동(또는 마우스 휠 스크롤) - 확대 및 축소단축키 a ..
유니티(Unity)에서 지역화(Localization) 사용하기 - 지역(언어) 설정, 테이블 생성, 텍스트 표시 Localization 패키지 설치 및 기본 설정(지역)과 테이블 생성1)패키지 관리자(package manager)에서 Localization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2)프로젝트 설정(project settings)에서 Localization 메뉴를 확인할수있습니다. Localization에서 create를 클릭하면 프로젝트에 새로운 Localization settings(지역화 설정) 에셋을 생성합니다. 3)Localization에서 지역화 설정이 표시되는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4)Localization의 available locales에서 local generator를 클릭하고 생성할 ..
유니티(Unity)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UI 기초 사용법 3 - 사이드 메뉴아래 유니티 튜토리얼(Introduction to Unity UI, By Ben MacKinnon)을 참고하였습니다. https://www.kodeco.com/6570-introduction-to-unity-ui-part-11)캔버스에 새로운 버튼 오브젝트를 생성합니다. 2)오브젝트의 Rect Transform에서 앵커 프리셋을 bottom, left로 설정하고 위치 및 크기를 설정합니다. 3)이미지의 소스 이미지(source image)에 스프라이트를 참조합니다. 4)버튼 오브젝트가 캔버스 영역의 좌측 하단에 위치하는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5)버튼 오브젝트의 하위에 panel 오브젝트를 생성합니다(Pnl_Mask)panel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