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ero Latency VR - 자유이동 가상현실 게임 파크 zero Latency VR은 자유 이동(free-roam) 가상현실 시스템을 개발하는 회사로 호주 멜버른에 세계 최초로 VR 엔터테인먼트 파크를 오픈하였다. 최대 8명의 인원이 무선 헤드셋 및 장비를 착용하고 테니스 코트 크기의 공간에서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가상현실 게임을 경험할수있다. 모션 캡처 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며 게임내 가상세계의 정확한 위치에 캐릭터를 생성한다. https://www.zerolatencyvr.com/ zero Latency VR의 좀비 서바이벌(zombie survival) https://youtu.be/b871kq_tQKM https://youtu.be/pKnA7l5lADU
하이퍼루프(Hyperloop) - 진공튜브를 이용한 차세대 초고속 이동수단 하이퍼루프(Hyperloop)는 공기저항과 마찰을 최소화한 진공 튜브를 통해 포드를 발진시키는 하이스피드 운송 시스템이다. 1799년 조지 메드허스트(George Medhurst)의 개념에 뿌리를 두고있는 이 아이디어는 공압철도,백트레인등의 이름으로 개발되었고 2012년 일론머스크가 연설에서 미국의 도시간 하이퍼루프 경로구상안과 아이디어들을 발표하면서 더 홍보되었다. https://youtu.be/6hXNXL9PiYk https://en.wikipedia.org/wiki/Hyperloop https://virginhyperloop.com/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580588&c..
S-MAP(에스맵),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3차원 공간 맵 서비스 서울시 영상지도 위에 3D 건물 모델을 표시하여 공간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3D 지도이다. 서울시 전역에 대하여 다양한 종류의 공간정보를 확인할수있다. http://smap.seoul.go.kr/ S-MAP(에스맵) 서울시 전역을 3차원 가상현실로 구축하여 안전,환경,도시계획 등 다양한 분야의 정책 수립지원 및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서울시 대표 3차원지도 smap.seoul.go.kr
프로젝트 룬(project loon), 전세계 인터넷 연결을 위한 구글의 프로젝트 2011년 google X의 연구 개발 프로젝트로 시작한 project loon은 성층권에 풍선을 띄워서 인터넷을 연결 및 확장하기위해 진행되었다. 풍선은 미국해양대기청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성층권에서 비행하며 인터넷 사용자는 풍선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글로벌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수있도록 한다. https://youtu.be/F8QeQLf53Cw https://youtu.be/LmbY-68zdOQ https://en.wikipedia.org/wiki/Loon_LLC
Aquila, 페이스북의 태양열 동력 드론 Aquila는 페이스북의 connectivity lab에서 개발한 실험적 드론이다. 태양열을 동력으로 비행하며 원격지역에 인터넷을 제공하는 인터넷 중계국 및 대기위성으로 사용하기위해 진행한 프로젝트이다. 현재는 중단된 프로젝트 https://youtu.be/eFv5Wj4ujZ8 https://research.fb.com/category/networking-connectivity/
언리얼 엔진(unreal engine)의 메타 휴먼 크리에이터(metahuman creator) 메타 휴먼 크리에이터는 언리얼 엔진(언리얼 엔진 4.26.2 이상)에서 무료로 사용할수있는 디지털 휴먼 제작 툴이다. 눈, 헤어, 피부, 치아등 인간의 다양한 얼굴특징을 표현할수있으며 실제 사람의 스캔 데이터와 샘플을 사용하여 세밀하고 사실적인 캐릭터 제작이 가능하다. 메타휴먼 크리에이터 소개영상 https://youtu.be/6_vCQSkbmcQ 사용가이드 및 튜토리얼 https://docs.metahuman.unrealengine.com/ko/ 포럼 https://forums.unrealengine.com/c/development-discussion/metahuman-creator/120
모니터 디스플레이의 HDR 지원 여부 확인하기(HDR Supported) 모니터가 HDR 콘텐츠를 정상적으로 표시하려면 디스플레이가 HDR를 지원해야합니다. 1)실행에서 dxdiag를 입력하고 확인합니다. 2)시스템 탭에서 시스템 정보를 표시하는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하단의 모든 정보 저장을 클릭합니다. 3)dxdiag.txt파일을 저장합니다. 4)텍스트 편집기에서 dxdiag 파일을 열기하고 HDR Support 또는 Monitor Capabilities를 확인합니다. 모니터가 HDR을 지원하지않는 경우 HDR Support: Not Supported 모니터가 HDR을 지원하지않는것을 의미합니다. Monitor Capabilities :HDR Not Supported 모니터가 HDR을 지원하지않고 윈도..
윈도우10에서 디스플레이 HDR 활성화하기(Windows HD Color)Windows HD Color를 사용하면 HDR 및 WCG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와 TV에서 윈도우의 HDR 콘텐츠를 재생할 때 더 밝고 선명하며 생동감 넘치는 화면을 제공할수있습니다.1)내 pc에서 설정으로 이동합니다. 2)시스템으로 이동합니다. 3)디스플레이 메뉴에서 windows HD color 설정으로 이동합니다. 4)디스플레이(TV 또는 모니터)가 HDR를 지원하는 경우 기능 표시에서 HDR 사용가능 여부를 표시하며 HDR 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수있습니다. HDR 사용 및 비디오 스트리밍을 활성화합니다. 5)디스플레이가 HDR를 지원하지않는 경우 기능 표시에서 HDR 사용여부를 표시하며 HDR 사용 옵션을 표시하지않습..
구글 설문지 만들어서 공유하기(이메일 보내기, URL공유) 1)구글에 계정 로그인한후 아래 구글 설문지 웹사이트로 이동한다. https://www.google.com/intl/ko_kr/forms/about/ 2)새로운 설문지를 추가한다. 3)설문지 설명, 질문, 옵션을 설정한다. 4)설문지를 공유하려면 우측 상단의 보내기로 이동한다. 5)설문지를 이메일로 보내려면 메일을 선택하고 받는사람 메일주소를 입력하고 보내기한다. 6)설문지 URL을 공유하려면 아래 공유를 선택하고 URL을 복사하여 공유한다.
NGI Map - ngi파일을 shp(수치지도)형식으로 변환하기 1)아래에서 수치지도 파일의 형식이 ngi인것을 확인할수있다. 2)국토지리정보원 웹사이트에서 콘텐츠센터의 자료실로 이동한다. https://www.ngii.go.kr/kor/main.do 3)'수치지도 활용'을 검색하여 공개된 수치지도 활용 소프트웨어 자료로 이동한다. 4)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한다. 다운로드 바로가기 웹사이트 https://www.ngii.go.kr/kor/contents/view.do?sq=484&board_code=contents_data&search=eyJzcmNoS2V5IjoiQUJDRSIsInNyY2hWYWx1ZSI6IiVFQyU4OCU5OCVFQyVCOSU5OCVFQyVBNyU4MCVFQiU4RiU4NCsl..
구글의 마젠타(magenta) 프로젝트 구글의 마젠타(magenta)는 창작 과정에서 도구로서의 기계 학습의 역할을 탐구하는 오픈 소스 연구 프로젝트이다. 아래 웹사이트에서 머신런닝을 이용하여 예술과 음악 제작을 시작하는데 도움이되는 몇가지 정보와 리소스를 제공한다 magenta studio https://magenta.tensorflow.org/studio 마젠타 데모(magenta demos)https://magenta.tensorflow.org/demos Demos A list of apps powered by Magenta models including fun toys, creative applications, research notebooks, and professional-grade tools..
독도 가상체험 영상(VR 360도 동영상) 아래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는 해양공간 가상 체험 서비스에서 독도의 육상 및 해저를 탐험할수있는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를 확인할수있다(3D암초, 3D바위, 360해저로드 뷰, 360항공 VR, 360 VR 동영상, 기타) http://www.khoa.go.kr/WebGL/dokdo3D/ 독도를 체험할수있는 360도 동영상 https://youtu.be/QyB3VDH7c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