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드트리(speedtree)에서 나무 모델링하기(가지 수정하기) 1)속성(properties)에서 나무를 수정할수있습니다. generation에서 generator를 선택하면 해당오브젝트를 수정할수있는 그룹들이 속성에 나타납니다. 가지(level1)를 선택하면 좌측의 속성(properties)에 가지를 수정할수있는 속성 그룹들을 표시합니다. 2)spine그룹에서 Length는 가지의 길이를 조절합니다. 3)start angle은 가지의 각도를 조절합니다. 4)Generation 그룹은 모든 generator의 공통 그룹입니다. 5)generation 그룹의 shared에서 first, last는 가지의 시작 및 끝 범위를 조절합니다. first 수치를 올리면 가지의 시작점이 올라갑니다. last 수치를..
스피드트리(speedtree)에서 유니티 에셋 export하기(st파일) 1)스피드트리에서 유니티에서 사용 가능한 에셋을 export하려면 unity subscription edition이 필요하다. 아래 예에서 speedtree modeler v8.4.2(unity subscription edition) 를 사용하였다. 2)트리 오브젝트를 저장하려면 상단의 file 메뉴에서 export to unity3D를 선택한다. 3)파일을 저장하려는 경로의 폴더들은 영문으로만 이루어져있어야한다. 4)export옵션을 설정한후 확인하면 st파일과 텍스쳐를 저장한다. 5)저장한 st파일과 텍스쳐를 유니티 에셋으로 임포트한다. 6)스피드트리 export 옵션에서 설정한 LOD, 빌보드가 정상적으로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코디(kodi)에 설치한 애드온(add-ons) 제거하기1)코디에서 사용자가 설치한 애드온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좌측의 add-ons를 클릭한다. 2)제거하려는 애드온이 위치한곳으로 이동하고 애드온을 마우스 우클릭한후 information을 선택한다. 3)uninstall를 클릭한다. 4)애드온과 관련한 모든 데이터를 제거한다. 5)애드온이 제거되어 더이상 표시되지않는것을 확인할수있다.
네이버 북마크 백업하기(html 파일로 저장하기) 1)네이버에서 '네이버 북마크' 검색, 사이트로 이동한다. 2)'내 북마크 내보내기'를 클릭해서 html파일로 저장한다.
구글 서치콘솔에 티스토리 블로그 추가하기 1)구글 서치콘솔로 이동한다. 2)아래 google search console에서 사이트 URL에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를 추가한다. 3)티스토리 블로그의 소유권 확인을 위해 메타태그를 추가하는 방법을 사용할것이다. 구글에서 제공하는 html 태그를 복사한다. 4)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에서 꾸미기의 스킨 편집으로 이동한다. 5)html편집를 클릭한다. 6)복사한 메타태그를 태그 사이의 영역에 붙여넣기하고 적용한다. 7)google search console로 돌아와서 소유권 확인을 완료한다.
익스플로러 즐겨찾기 백업하기(html으로 저장) 1)익스플로러 즐겨찾기에서 표시한 화살표를 클릭하고 가져오기 및 내보내기를 선택한다. 2)파일로 내보내기를 선택하고 다음 3)즐겨찾기에 체크하고 다음 4)html파일을 저장할 위치를 설정하고 내보내기한다.
깃허브(github) 기술문서, 용어설명 깃허브 시작 https://guides.github.com/activities/hello-world/ 깃허브 용어 https://docs.github.com/en/github/getting-started-with-github/github-glossary 유니티 깃허브 사용법 https://github.com/github-for-unity/Unity/blob/master/docs/using/quick-guide.md
게임 사운드 이펙트 생성기(game sound effect generator) - sfxrhttp://www.drpetter.se/project_sfxr.htm코인, 레이저, 폭발음, 등의 사운드 이펙트를 디자인하고 출력(wav)할수있다.
스피드트리(speedtree)에서 가지의 segment 줄이기(면의 개수 줄이기)1)모델의 와이어프레임을 확인하려면 view의 render를 클릭하고 scribed를 선택한다. 2)나무의 몸통인 trunk를 선택하고 branch의 segments를 확인한다. 3)length, radial의 수치를 조절하면 나무의 길이 또는 둘레에 대한 세그먼트 개수를 줄일수있다. 4)level 노드를 선택하고 마찬가지로 branch의 segment에서 length, radial의 수치를 조절한다.
유니티(unity)에서 새로운 씬의 밝기가 어두운 경우1)새로 생성한 씬에서 오브젝트가 어둡게 표현되는경우 2)lighting 윈도우에서 auto generate를 체크한다.
윈도우10에서 기본 인터넷 브라우저 변경하기1)내 컴퓨터에서 설정을 선택한다.2)설정에서 기본 앱 메뉴를 선택하고 웹 브라우저 항목에서 브라우저를 클릭하여 변경하면된다.
유니티(Unity) 게임 그래픽에서 텍스처 최적화 방법 몇가지텍스처 크기(Resolution)텍스처 해상도가 클수록 메모리 사용량이 많아지고 성능 저하가 발생합니다. 필요 이상으로 큰 텍스처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 텍스처 크기를 적절히 줄여서 최적화합니다. Texture Import Settings에서 Max Size를 적절한 값으로 설정 텍스처 비율(Aspect Ratio)비정형 크기의 텍스처는 그래픽카드에서 빈공간을 자동으로 채워 정형 텍스처로 변환후 GPU로 전송, 불필요한 메모리 대역폭을 낭비할수있습니다. 텍스처의 비율을 Power of Two (2의 거듭제곱) 크기로 설정하여 최적화할수있습니다.예를들어 128x128, 256x256, 512x512 텍스처 압축 포맷(Compression)텍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