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리얼 엔진(Unreal Engine)에서 무비 렌더(Movie Render) 추가 렌더 패스 설정(Additional Render Passes)
무비 렌더(Movie Render)의 Additional Render Passes 플러그인은 최종 이미지(Final)를 포함하여 월드 뎁스, 모션 벡터, 오브젝트 ID 등의 기타 다양한 렌더 패스 출력을 지원합니다.
https://dev.epicgames.com/documentation/ko-kr/unreal-engine/cinematic-render-passes-in-unreal-engine
1)언리얼 엔진 플러그인(plugins)에서 movie render queue, movie render queue additional render passes를 활성화합니다.
2)시퀀서에서 카메라를 추가하고 movie render queue로 이동합니다.
3)output에서 파일 저장 경로 및 해상도를 설정합니다.
4)Deferred Rendering의 additional post process materials에서 추가 렌더 패스를 설정할수있습니다.
5)기본으로 설정된 렌더 패스 재질을 확인합니다(MovieRenderQueue_WorldDepth, MovieRenderQueue_MotionVectors)
해당 렌더 패스를 활성화하려면 enabled에 체크합니다.
6)새로운 렌더 패스 재질을 추가하려면 인덱스(index)를 추가하고 재질을 설정합니다. renderqueue를 검색하여 추가 렌더 패스에 사용할 재질을 확인할수있습니다.
7)Setting을 클릭하고 렌더링(Rendering)에서 추가할 렌더 패스 항목을 선택합니다(Deferred Rendering(Detail Lighing, Lighting Only, Reflections Only, Unlit)
디테일 라이팅(Detail Lighting) - 노멀 맵과 결합된 라이팅만 표시
라이팅(Lighting Only) - 라이팅만 표시(라이팅에 영향을 주는 노멀 맵 없음)
리플렉션(Reflections Only) - 월드의 모든 반사를 표시
라이팅제외(Unlit) - 라이팅을 제외한 베이스 컬러만 표시
8)렌더를 진행하면 저장 경로에서 최종 이미지(Final)을 포함하여 추가한 렌더 패스 이미지를 확인할수있습니다.
월드 뎁스(WorldDepth) 이미지가 흰색과 노란색으로 표시되는 문제
9)Deferred Rendering에서 재질을 MovieRenderQueue_WorldDepth에서 SceneDepth로 변경합니다.
10)월드 뎁스가 정상적으로 렌더링된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제작도구 > 언리얼엔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리얼 엔진(Unreal Engine) Foliage 모드를 사용하여 지오메트리 표면에 잔디(Grass) 추가하기 (0) | 2025.03.30 |
---|---|
언리얼 엔진(Unreal Engine) Fab에서 퀵셀 메가스캔(Quixel Megascan) 에셋 추가하기 (0) | 2025.03.30 |
언리얼 엔진(Unreal Engle)에서 nDisplay를 사용하여 큐브맵(cubemap) 렌더링하기 (0) | 2025.03.24 |
언리얼 엔진(Unreal Engine)에서 360 파노라마 이미지 렌더링 방법(movie render queue) (0) | 2025.03.24 |
언리얼 엔진(Unreal Engine)에서 동영상 플레이 사용하기(Media Player) (0)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