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ty에서 collaborate를 활용하여 프로젝트 클라우드 백업하기유니티의 collaborate는 팀 작업시 클라우드 환경에서 프로젝트를 저장, 동기화, 공유할수있게 하기위해 고안되었다. collaborate를 이용하면 프로젝트를 클라우드에 백업하고 업데이트할수있다.1)테스트를 위해 새 프로젝트를 생성하였다(에셋 패키지를 추가하려면 add asset package를 클릭하여 추가)2)새로운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씬을 구성 및 씬을 저장한다. 새로운 에셋을 임포트하고 project settings를 변경하는 등 게임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3)unity collaborate의 설치 유뮤, 버전을 확인하기위해 package manager로 이동한다.4)목록에서 unity collaborate를 확인할수있다..
UNITY에서 렌더 텍스쳐(render texture) 사용하는 방법아래 스크린샷에서 유저가 캐릭터를 선택하면 사용자 메뉴(UI)의 특정 영역에서 애니메이션을 실행하는 3D 모델을 확인할수있다. 렌더 텍스쳐를 활용하면 캔버스에 영역을 설정하고 이 영역에 카메라뷰에서 보여지는 씬을 렌더링 할수있다.1)캔버스에 panel를 생성하였다.2)예시에서 사용할 피사체로 캐릭터(sphere)와 새로운 카메라를 생성한다.3)렌더텍스쳐에 렌더링할 카메라뷰의 구도를 아래와 같이 구성하였다. 4)프로젝트에 render texture를 생성한다.5)render texture의 속성을 설정한다.6)이 렌더 텍스쳐를 위에서 새로 생성한 카메라의 target texture에 참조시킨다.7)ui에서 위 카메라뷰를 렌더링할 영역을 위..
unity에서 sprite packer를 사용하여 드로우콜(batches, setpass calls)을 줄이는 방법개별적으로 존재하는 텍스쳐를 아틀라스에 모아(packing) 이미지의 불필요한 공백을 줄이고 렌더링 프로세스에서 한번에 처리하여 드로우콜 수치를 낮출수있다.1)먼저 텍스쳐의 타입을 sprite로 변경한다(텍스쳐를 선택하고 import 세팅에서 sprite 타입을 선택, apply를 클릭하여 반영한다)2)동일한 방법으로 sprite packer를 사용할 모든 텍스쳐를 스프라이트 타입으로 변경하였다.게임을 플레이하여 드로우콜 수치를 확인한다. 이 수치가 높으면 렌더링 프로세스에서 프레임레이트에 영향을 끼친다.3)sprite packer를 활용하여 이 수치를 낮출수있다. 유니티의 editor se..
유니티 기본 쉐이더(particles standard surface)카메라 근접 오브젝트를 페이드 아웃시키는 쉐이더1)유니티에서 1인칭 플레이어의 시점 카메라가 씬의 오브젝트에 아주 근접하면 아래 두번째 이미지와 같이 클리핑된다.2)일반적으로 이것은 카메라의 clipping planes에서 near, far 수치를 입력하여 조절할수있지만 오브젝트를 통과할때 클리핑된 단면이 확인되는것은 개선할수없다.3)위 문제는 particles의 standard surface 쉐이더가 제공하는 옵션인 camera fading으로 개선할수있다. 새로운 재질을 생성하고 해당 쉐이더를 선택한다.4)블렌딩 옵션의 rendering mode를 transparant로 선택하고 camera fading에 체크한후 near, far ..
유니티에서 SceneManager.LoadScene를 사용하여 씬 로드하기1)현재 씬을 저장한다(scene_01)2)새로운 씬을 생성한다(new scene)3)씬을 구성하고 저장한다(scene_02)4)상단의 file메뉴에서 build settings를 선택한다.5)add open scenes를 클릭해서 씬을 추가한다.6)아래 스크립트를 추가한 게임 오브젝트가 씬에 존재하면 게임을 시작하고 3초후에 "scene_02" 씬을 로딩한다. 함수에서 씬 이름 대신에 인덱스를 사용하여 해당 씬을 로드할수있으며 SceneManagement 네임스페이스 사용을 선언해야 해당 함수를 사용할수있다.
유니티에서 마우스 클릭 이벤트에 의한 OnMouseDown 함수 호출하기1)씬에서 게임오브젝트를 생성한다.2)마우스 클릭 이벤트에의해 함수를 호출하려면 오브젝트는 콜라이더를 가지고있어야한다.3)이 게임오브젝트의 스크립트에서 이벤트함수인 OnMouseDown를 선언하였다.4)게임을 플레이하고 씬에서 게임 오브젝트를 클릭하면 함수가 호출된다.
유니티에서 레이캐스팅하고 hit 정보 아웃, 출력하기 특정 위치(origin)에서 특정 방향(direction)으로 최대 길이(max distance)의 레이를 캐스팅하여 레이가 콜라이더에 닿으면 true를 리턴한다.이때 hit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out를 확인할수있다(RaycastHit)레이캐스팅에의해 타겟 오브젝트의 이름, hit포인트, 거리, 노말을 출력해보았다.길이 제한없는 레이를 캐스팅하려면 maxDistance 인수에 Mathf.Infinity를 넘긴다.
유니티에서 SendMessage 메서드를 사용하여 게임 오브젝트에 메시지 보내기(GameObject.SendMessage)1)씬에 스피어(sender)와 큐브(receiver)를 생성하였다. 2)메시지를 받는 오브젝트(cube)의 스크립트에서 함수를 선언하였다. 정수 타입의 파라미터를 받아서 출력한다.3)메시지를 보내는 오브젝트의 스크립트에서 아래 코드를 추가하였다. 게임 실행중 사용자 인풋에 의해 target 오브젝트의 함수 printSomething를 호출한다. 4)위 스크립트를 스피어 오브젝트에 추가하고 target 오브젝트에 큐브를 참조시켰다. 5)게임을 플레이하고 사용자 키 입력을 하면(spacebar) 큐브 오브젝트는 값을 출력한다.
유니티에서 Instantiate 함수로 게임 오브젝트 복제하기Object.Instantiate - 오브젝트를 복제하는 함수로 유니티 기술문서에서 다양한 용법을 확인할수있다(https://docs.unity3d.com/ScriptReference/Object.Instantiate.html)Instantiate 함수는 오리지날을 복제하여 클론을 리턴한다. 기본적으로 에디터에서 게임 오브젝트를 duplicate(ctrl+d)하는것과 동일하며 인수를 추가하면 선택적으로 위치 및 회전을 명시할수있다.1)씬에 empty 게임오브젝트를 생성하였다.2)이 게임오브젝트에 아래 스크립트를 추가한다. Instantiate(prefab); 스크립트에서 참조하는 프리팹을 복제한다. Instantiate(prefab, new V..
유니티 스크립팅 - 원하는 타임에 함수를 호출, Invoke 함수사용하기 Invoke함수는 원하는 타임에 함수를 호출하는 함수이다. 아래 예에서 게임을 시작하면 3초후에 printTime함수를 호출한다.2)InvokeRepeating함수는 원하는 타임에 함수를 호출하고 설정한 타임 간격으로 반복한다. 아래 예에서 게임을 시작하면 3초후에 printTime함수를 호출하고 3초마다 반복적으로 함수를 호출한다.
유니티에서 GetComponent함수 사용하기GetComponent();게임 오브젝트의 컴포넌트를 가져오는 함수이다. type은 가져올 컴포넌트의 타입이다. 1)씬에 게임 오브젝트 cube를 생성한다.2)오브젝트에 두개의 스크립트를 추가한다(CubeScript, OtherCubeScript)3)맴버 변수를 선언하고 값을 대입한 사용자 정의 클래스(OtherCubeScript)4)또다른 스크립트(CubeScript)에서 위에서 정의한 class를 저장하기위해 참조 변수를 선언한다(private OtherCubeScript a;) awake함수에서 OtherCubeScript타입의 컴포넌트를 가져와 저장하고 맴버 변수의 값을 출력한다. GetComponent
유니티에서 DontDestroyOnLoad함수를 이용하여 씬을 로드할때 사라지지않는 오브젝트 만들기일반적으로 새로운 씬을 로드하면 기존의 모든 오브젝트들을 제거하고 새로운 씬의 오브젝트를 로드한다. DontDestroyOnLoad함수를 이용하면 특정 타겟 오브젝트가 모든 씬에 걸쳐 존재하도록 할수있다.1)테스트를 위해서 씬에 empty gameobject를 생성하고 스크립트를 추가한다.2)DontDestroyOnLoad 함수의 인수로 게임 오브젝트를 추가하였다.3)게임을 플레이하면 awake함수에서 이 오브젝트를 새로운 씬을 로드해도 제거되지않는 오브젝트로 만든다.4)게임을 플레이하고 5초후에 새로운 씬 scene_02를 로드하였고 이전 씬의 게임 오브젝트가 제거되지않았다.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