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티(unity)에서 프로젝트의 VR supported 비활성화하기일반적으로 프로젝트에서 VR을 제거하려면 SteamVR 패키지 폴더를 삭제하고 플레이어의 XR settings에서 VR 를 비활성화하면된다. 만약 프로젝트에서 VR를 제거하지않고 일시적으로 비활성화하고싶다면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할수있다.1)VR 지원 비활성화 항목은 player의 XR settings에서 확인할수있다(virtual reality supported) SteamVR 기본 세팅은 사용자가 이것을 체크 해제 할수없도록 설정되어있다. 2)virtual reality supported를 수동으로 체크해제하려면 먼저 window메뉴의 steamVR input으로 이동한다. 3)우측 상단의 advanced settings로 이동한다...
유니티(unity) 가이아(gaia)에서 mesh 터레인 오브젝트로 사용자 stamp 만들기1)3D맥스에서 모델링한 터레인 오브젝트를 유니티에서 임포트하였다. 2)임포트한 오브젝트를 씬에 생성하였다. 3)gaia manager의 advanced 탭에서 handy utilites의 show scanner를 클릭한다. 4)씬의 터레인 오브젝트를 scanner 오브젝트의 drop here to scan 영역에 드래그한다. 5)씬에서 stamp로 만들 터레인의 프리뷰를 확인할수있다. 6)base level를 설정하고 save scan를 클릭하면 7)새로운 stamp가 생성되고 이것의 프리뷰를 확인할수있다(scanner의 feature type에 설정한 폴더에서 확인) 8)stamper 오브젝트에서 해당 stam..
유니티(unity)에서 터레인의 height map 추출하기1)터레인을 선택하고 터레인 세팅의 texture resolutions로 이동한다. 2)heightmap resolution에서 추출할 raw 파일의 해상도를 설정하고 export raw를 클릭한다. 3)height map export 옵션에서 depth는 16비트, byte order는 윈도우를 선택한후 export를 클릭한다. 4)포토샵에서 raw파일을 열기한다. raw options에서 채널의 count에 1을 입력하고 16비트, IBM PC에 체크한후 확인한다. 5)터레인에서 추출한 높이맵(height map) 텍스쳐를 확인할수있다.
유니티에서 높이맵(height map)을 사용한 터레인(Terrain) 생성1)씬에서 터레인을 생성합니다. 2)터레인 세팅(terrain settings)으로 이동합니다. 3)텍스처 해상도(texture resolutions)에서 import raw를 클릭하고 높이맵으로 사용할 raw 파일을 선택합니다.유니티에서 터레인 높이맵 텍스처로 지원하는 raw 이미지 파일의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16비트, grayscale, non interlaced, IBM PC RAW 파일, 해상도 - 2의 거듭제곱(power of 2) +1 square sizehttps://proceduralworlds.freshdesk.com/support/solutions/articles/33000204317-raw-file-won-..
유니티(unity)에서 스팀(Steam)VR 시작하기1)유니티 에셋 스토어에서 SteamVR 플러그인을 다운로드하고 프로젝트에 임포트한다. 2)Accept all를 클릭하면 빌드 타깃을 standaloneWindows에서 standaloneWindows 64 로변경하고 컬러 스페이스를 감마에서 Linear로 변경한다. 원하지 않는 옵션은 ignore를 클릭한다. 3)임포트한 스팀VR 에셋을 확인할수있다. 4)프로젝트의 XR 세팅에서는 VR 지원이 활성화된것을 확인할수있다. 5)[CameraRig] 프리팹을 씬에 추가한다. 6)[CameraRig]는 하위에 좌,우 컨트롤러와 카메라 오브젝트를 가지고있다. 7)게임 플레이를 시작하고 VR 인풋에 대한 액션을 활성화하지않았다는 대화상자에서 yes를 클릭한다. ..
유니티(unity)에서 포스트 프로세싱(Post Processing V2) 설치 및 사용방법유니티에서 배포하는 포스트 프로세싱( PostProcessing V2)은 package manager에서 설치할수있다(또는 아래 깃허브에서 프로젝트를 다운로드 및 임포트)https://github.com/Unity-Technologies/PostProcessing 1)상단의 window에서 package manager로 이동한다. 2)post processing을 선택 install를 클릭하면 프로젝트에 설치를 시작한다. 3)설치가 완료되면 프로젝트 윈도우의 packages에서 확인할수있다. 카메라에 post-process layer 추가하기4)카메라에 post process layer를 추가한다. 5)volume..
유니티(unity)에서 스피드트리(speed tree)의 나무 오브젝트 임포트하기유니티에서 에셋으로 임포트(import)할수있는 스피드트리(speed tree)파일은 확장자가 .spm 또는 .st 이다. 아래 예는 speedtree modeler unity subscription edition를 사용하여 .st파일로 export하고 유니티에서 임포트하는 과정이다. 1)스피드 트리 모델러를 실행한다. 버전은 speedtree modeler 8.4.2(unity subscription edition)를 사용하였다. 2)사용자 트리 또는 스피드트리 라이브러리의 트리를 열기한다. 3)트리를 export하려면 상단의 file 메뉴에서 export to unity3D를 선택한다. 4)유니티에서 사용가능한 트리의 파..
유니티(unity)에서 그림자 플리커 현상(flickering, jagged shadow, Shadow Z-fighting)1)예를들면 큰 스케일의 씬에서 터레인 작업을 하는경우 아래와 같이 그림자 플리커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2)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quality의 shadow projection에서 stable fit을 선택한다. 3)또는 카메라의 near clipping planes 수치를 올리면 해결할수있다.
유니티(unity)에서 카메라와 먼 거리의 오브젝트가 그림자를 표시하지 않는문제1)아래 예에서 프랍과 카메라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서 그림자를 표시하지않는것을 확인할수있다. 2)이런 경우 project settings의 quality에서 shadow distance 수치를 높이면 해결할수있다. 3)기본 값은 350이며 수치를 올리면 그림자가 정상적으로 표시되는것을 확인할수있다.
유니티(unity)에서 터레인(terrain)의 페인트 브러쉬(paint texture) 안되는 경우1)유니티에서 터레인의 페인팅 작업할때 작은 사이즈의 브러쉬가 작동하지않는 경우 터레인의 splatmap 해상도를 높여서 해결할수있다. 2)터레인 설정 탭으로 이동한다. 3)texture resolution에서 control texture resolution 에 더 높은 값을 입력한후 resize를 클릭한다.기본 값은 1024이며 예에서는 2048로 설정하였다. 4)작은 사이즈의 브러쉬로 paint texture 작업이 가능하다.
유니티(unity)에서 가이아(gaia)의 scanner를 이용하여 새로운 사용자 stamp 만들기(height map을 스탬프로 만드는방법)1)가이아에서 일반적인 방법으로 stamper를 이용하여 터레인에 지형을 생성할수있다. 2)stamper 오브젝트의 스크립트에서 아래 표시한곳에 추가할 지형의 stamp를 추가하고 3)하단 stamp controller의 stamp를 클릭하면 지형을 생성한다. 4)다음은 새로운 지형의 사용자 stamp를 추가하는 방법이다.gaia manager에서 advanced 탭의 handy utilities에서 show scanner를 선택한다. 5)씬에 scanner 오브젝트가 추가된것을 확인할수있고 오브젝트의 스크립트에서 새로운 stamp를 제작할수있다. 지형의 높낮이 정..
유니티 - 스크립트 에디터에서 코드 자동완성 기능 하지않는 문제(유니티에서 csproj 및 sln 파일을 생성하지 않는 문제)1)유니티에서 생성한 C# 스크립트를 비쥬얼 스튜디오에서 열었는데 스크립팅 API 에 대한 코드 제안을 하지않는다. (아래 예에서 Rigidbody 클래스에 대해 코드 제안을하지않는다) 2)컴파일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유니티에서 이것이 문제없이 구현되지만 코드 자동완성 기능(intellisense)을 하지않고 class를 색상으로 표시하지않는다. 3)유니티에서 csproj 및 sln 파일을 생성하지 않아서 현재 비쥬얼 스튜디오에서 작업중인 해당 스크립트에 대한 프로젝트가 존재하지않는것을 확인하였다(보기>솔루션 탐색기)4)유니티의 external tools에서 스크립트 에디터를 비쥬..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