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맥스 브이레이(V-Ray) 실내(exterior) 렌더링 사용법 및 튜토리얼 모음 Exterior lighting techniques to enhance your scene(V-Ray 5 for 3ds Max) https://youtu.be/IrLsukQDBdc How to light an exterior day scene(V-Ray Next for 3ds Max ) https://youtu.be/hy8-PBPyKzs Create Photorealistic Exterior Renders with V-ray and 3ds Max(evermotion) https://youtu.be/ntzrhZTK1Ns
3D 맥스 브이레이(V-Ray) 실내(interior) 렌더링 사용법 및 튜토리얼 모음 브이레이 Interior Render Settings https://docs.chaos.com/display/VMAX/Interior+Render+Settings#InteriorRenderSettings-RecommendedAnimationSettingsex Interior Render Settings - V-Ray for 3ds Max - Global Site docs.chaos.com Realistic interior day lighting with V-Ray for 3ds Max https://youtu.be/x8H1CNNFPgc How to light an interior day scene(V-Ray Next ..
3D 맥스 브이레이(VRay) 프로젝트에 적합한 렌더 설정(이미지 품질과 렌더링 시간의 균형) 일반적으로 높은 이미지 품질은 더 많은 렌더링 시간을 요구하고 빠른 렌더링은 낮은 품질의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사용 버전 - autodesk 3ds Max 2023, V-Ray 6 Hotfix 3) 1)브이레이 렌더러의 기본 설정으로 시작합니다. 이것은 최적화된 설정으로 카오스 그룹에서 브이레이의 성능을 측정하고 테스트하여 엔진의 기본값으로 설정한것입니다. 기본 렌더 설정이 원하는 결과를 제공하지않으면 렌더 설정을 조정할수있습니다. 2)V-Ray 탭의 Image sampler에서 브이레이에서 제공하는 두가지 유형의 이미지 샘플러(Progressive and Bucket)를 확인할수있습니다. 3)Progress..
3D 맥스 스캔라인 렌더러에서 볼륨 라이트(volume light) 이펙트 만들기 스캔라인 렌더러(scanline renderer)와 기본 조명을 사용하여 볼륨 라이트 효과 만드는 방법 1)렌더 설정(render setup)에서 스캔라인 렌더러(scanline renderer)를 선택합니다. 2)시스템 유닛을 설정합니다(units setup) 3)씬을 구성합니다. 4)씬에 조명 오브젝트를 생성하고(spot light) 렌더링해서 확인합니다. 5)environment and effects(단축키 8)의 environemnt에서 atmosphere로 이동합니다. 6)add를 클릭하고 볼륨 라이트 이펙트를 선택하고 확인합니다(volume light) 7)추가한 볼륨 라이트 이펙트의 파라미터를 확인할수있습니다...
3D 맥스에서 카메라의 렌즈(lens) 초점거리 설정하기(표준, 망원, 광각) 카메라의 렌즈 초점거리(lens, focal length)를 설정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적합한 장면을 연출할수있습니다. 카메라 오브젝트의 Lens(렌즈 초점거리)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화각과 초점을 설정할수있습니다. 초점 거리가 낮을수록 사진의 장면이 더 많이 포함되며 높을수록 장면에 포함되는 부분은 줄어들지만 더 멀리 있는 사물의 세부 묘사를 표현할수있습니다. stock lenses는 자주 사용하는 렌즈 프리셋입니다. 표준렌즈 초점거리가 50mm 내외인 표준렌즈는 사진 촬영의 일반적인 표준으로 인간의 시각과 가장 유사한 화상을 포착하는 렌즈입니다. 원근감의 왜곡이 없어 자연스러운 장면을 연출합니다. 망원렌즈 초점..
3D 맥스 카메라 자동 수직 기울기 보정 사용하기(physical camera, auto vertical tilt correction) 카메라가 위 또는 아래로 기울어져 있는 장면에서 자동 수직 기울기 보정(auto vertical tilt correction)을 사용하여 물리 카메라(physical camera)의 구도와 원근을 수정하는방법. 1)씬을 구성합니다. 2)씬에 물리 카메라를 생성합니다(physical camera) 3)카메라의 위치를 설정합니다. 4)뷰포트를 카메라 뷰로 설정합니다. 5)뷰포트의 safe frame을 표시합니다(단축키 shift+f) 6)뷰포트의 좌측 상단에서 configure viewports로 이동합니다. 7)safe frames 탭에서 그리드(12-field grid)..
3D 맥스 브이레이(V-Ray) 볼륨 라이트 설정하기(VrayEnvironmentFog) 브이레이 환경 안개(VrayEnvironmentFog) 이펙트를 사용하여 볼륨 라이트 설정하는 방법 (사용 버전 - autodesk 3ds Max 2023, V-Ray 6 Hotfix 3) 1)렌더 설정(render setup)에서 브이레이 렌더러를 선택합니다. 2)units setup에서 시스템 유닛을 설정합니다. 씬을 구성하는 오브젝트의 크기와 이펙트 거리 설정에 따라서 효과가 달라집니다. 3)씬을 구성합니다(길이1m의 박스 오브젝트) 4)environment and effects(단축키 8)에서 새로운 atmosphere를 추가합니다. add를 클릭하고 VrayEnvironmentFog를 선택하고 확인합니다. ..
3D 맥스의 인스턴스(Instance) 원본 오브젝트의 완전히 대체 가능한 복제본을 생성합니다. 인스턴스의 수정 작업은 원본 오브젝트의 수정 작업과 동일합니다. 오브젝트의 복사(Copy)에 비해 저장 공간 절약, 메모리 절약, 렌더링 시간 절약, 작업시간 절약(한개의 인스턴스 수정은 모든 인스턴스에 반영)등의 장점이있습니다. https://help.autodesk.com/view/3DSMAX/2022/KOR/?guid=GUID-9F0E9AC3-FAE6-46A6-83F3-591084220B12 https://help.autodesk.com/view/3DSMAX/2022/ENU/?guid=GUID-09352CD6-A382-4AD2-8E69-6F7F6B0711D5 https://www.cadtutor.net/..
UDIM(다중 UV 타일 텍스처 맵핑)단일 텍스처 맵핑일반적으로 단일 텍스처 맵핑은 UV 맵 좌표에서 0-1 영역에 나타나는 이미지 맵을 사용하여 모델 전체에 텍스처를 맵핑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0-1 영역 외부에서 이미지는 타일링됩니다.https://learn.foundry.com/ko/modo/content/help/pages/uving/udim_workflow.html UDIMUDIM은 3D 컴퓨터 그래픽스에서 텍스처 맵핑을 확장하여 관리하는 방법중 하나로 단일 텍스처 맵이 아닌 여러 개의 타일 텍스처 맵을 사용하여 모델의 텍스처를 정의하는 방식입니다(오프셋을 사용하여 모델에 여러개의 UV 맵을 할당) 주로 고해상도 텍스처 작업이 필요한 상황에서 모델당 텍스처 수를 늘리기위해 사용됩니다.UDIM은..
3D 맥스 Instance Tool 스크립트 - Copy 복사한 오브젝트를 인스턴스(Instance)로 설정 씬의 지오메트리 오브젝트를 분석하고 한개의 인스턴스로 표현할수있는 오브젝트를 찾아주는 스크립트입니다. Copy로 복사한 오브젝트들을 인스턴스(instance)로 설정하거나 변형되었지만 동일한 토폴로지를 가지는 오브젝트들을 인스턴스(instance)로 설정할수있습니다. http://www.scriptspot.com/3ds-max/scripts/instance-tool http://cargocollective.com/matan/Instance-tool Instance tool 사용법 https://vimeo.com/23788685
영화 월이(WALL-E) 배경 모작 구조물 3D 모델링배경 레퍼런스 구조물 1단위 모델링 구조물 1단위 길이 측정 및 구조물 전체 모델링 구조물 1단위 길이 측정 구조물 전체 길이 측정 구조물 전체 모델링(1단위복사, Bend)
영화 CG에서 3D 프랍 모델 사용 예시촬영사진 레퍼런스 3D 모델링 모델의 UV 레이아웃과 텍스처 제작 씬 구성과 렌더링 및 후반 합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