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드트리(speedtree) 나무의 콜라이더(collision object) 제거하기(유니티 버전 - unity 2019.2.20f1, 스피드트리 버전 - SpeedTree For Unity Subscription 7.1.7) 1)유니티에서 임포트한 스피드 트리 모델의 콜리젼 오브젝트는 프리팹을 unpack하고 제거할수있지만 여전히 임포트된 에셋으로써의 모델에는 데이터가 남아있는것을 확인할수있다. 스피드 트리의 데이터는 스피드트리에서 수정할수있다. 2)스피드트리에서 해당 모델의 파일을 열기하고 scene의 collision을 클릭한다. 3)toggle visibility를 선택하면 뷰에서 현재 모델에 존재하는 콜라이더를 확인할수있다. 4)콜리젼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delete 키로 제거할수있다. 5)나..
스피드트리(speedtree)에서 나무 모델의 빌보드(billboard) 제거하기(유니티 버전 - unity 2019.2.20f1, 스피드트리 버전 - SpeedTree For Unity Subscription 7.1.7) 1)유니티에서 임포트한 스피드 트리어셋을 씬에 추가하고 unpack 프리팹하면 빌보드 오브젝트를 제거할수있지만 2)임포트한 모델로써의 어셋에는 여전히 데이터가 남아있다. 3)빌보드를 포함하지않는 트리 에셋을 만들려면 먼저 스피드트리에서 tree properties로 이동한다. 4)LOD하단의 compile에서 make billboards를 체크 해제한후 파일을 저장한다. 5)이 에셋은 빌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지않으며 이것을 유니티에서 확인할수있다.
스피드트리(speedtree)에서 오브젝트의 LOD 확인하기1)트리 노드를 선택한다. 2)나무의 속성에서 level of detail(LOD)의 enabled에 체크한다(count 수치는 LOD의 단계를 의미한다) 3)뷰포트의 좌측 하단에서 LOD 조절자가 표시된것을 확인할수있으며 조절자를 high에서 low로 이동하면 더 낮은 단계의 디테일을 표시한다. 4)조절자를 이동하여 변하는 LOD는 뷰포트에서 확인할수있고 오브젝트 폴리곤 개수의 변화도 확인할수있다. 5)조절자 우측에서 마우스 우클릭 한후에 LOD 표시 방법(manual, use screen area)을 선택할수있다. manual은 기본 설정으로 조절자를 이동하여 lod의 변화를 표시하며 use screen area는 뷰포트에서 트리 오브젝트와 ..
스피드트리(speedtree)에서 나무의 몸통 또는 가지의 두께 조절하기1)trunk 또는 가지의 level 노드를 선택한후 branch 탭의 branch에서 radius 수치를 조절하여 두께를 변경할수있다. 2)우측의 그래프 아이콘을 클릭하고 높이에 따른 두께의 변화를 곡선 그래프로 설정할수있다. 3)위 그래프에서 설정한 높이에 따른 두께가 반영된 모습
스피드 트리(speedtree)에서 나무의 불필요한 노드 삭제하기1)나무 오브젝트의 노드 구성은 generation editor에서 확인할수있다. 2)불필요한 노드를 삭제하려면 해당 노드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 한후에 delete를 선택한다(del key) 3)예에서 flower를 제거하였다.
스피드트리(speedtree)에서 모델을 와이어프레임으로 표시하기 1)view의 render에서 scribed를 선택하면 모델을 와이어프레임으로 표시한다. 2)선택한 노드에 대해서만 와이어프레임으로 표시하려면 show의 selection style에서 wireframe을 선택한다.
유니티(unity)에서 스피드트리(speed tree)의 나무 오브젝트 임포트하기유니티에서 에셋으로 임포트(import)할수있는 스피드트리(speed tree)파일은 확장자가 .spm 또는 .st 이다. 아래 예는 speedtree modeler unity subscription edition를 사용하여 .st파일로 export하고 유니티에서 임포트하는 과정이다. 1)스피드 트리 모델러를 실행한다. 버전은 speedtree modeler 8.4.2(unity subscription edition)를 사용하였다. 2)사용자 트리 또는 스피드트리 라이브러리의 트리를 열기한다. 3)트리를 export하려면 상단의 file 메뉴에서 export to unity3D를 선택한다. 4)유니티에서 사용가능한 트리의 파..
스피드트리(speedtree)에서 나무의 길이, 두께 조절하기 1)길이, 두께를 수정하려는 trunk 또는 level 노드를 선택한다.spine의 length 수치를 조절하여 길이를 수정한다. 2)두께를 조절하려면 branch의 radius 수치를 조절한다.
스피드트리(speedtree)에서 나무의 노이즈 낮추기(displacement) 1)나무의 몸통인 trunk의 노이즈 강도가 센것을 확인할수있다. 2)trunk 노드를 선택하고 branch의 displacement로 이동한다. 3)displacement에서 amount수치를 낮추면 노이즈를 제거할수있다.
스피드트리(speedtree)에서 나무 구부리기 1)나무의 몸통인 trunk 노드를 선택한다. 2)spine의 forces로 이동한다. 3)curl 항목에 체크하고 수치를 조절하면 나무를 구부린다.
스피드트리(speedtree)에서 나무 내보내기(export)하고 3D맥스에서 가져오기(import) 사용 버전 - speedtree modeler v7.0.5(cinema edition) 1)스피드트리에서 나무 오브젝트를 열기합니다. 2)모델을 내보내기하려면 상단의 file 메뉴에서 export mesh를 선택합니다. 3)위치를 설정하고 파일 형식을 fbx로 저장합니다. 4)geometry의 group by에서 material를 선택하고 coord system에서 z-up right-handle를 선택합니다. copy textures에 체크하고 확인하면 fbx파일을 내보내기합니다(export) 5)내보내기한 fbx파일을 3D맥스에서 가져오기합니다(import) 6)스피드트리의 내보내기 옵션에서 grou..
스피드트리(speedtree)에서 나무 모델링하기(가지 수정하기) 1)속성(properties)에서 나무를 수정할수있습니다. generation에서 generator를 선택하면 해당오브젝트를 수정할수있는 그룹들이 속성에 나타납니다. 가지(level1)를 선택하면 좌측의 속성(properties)에 가지를 수정할수있는 속성 그룹들을 표시합니다. 2)spine그룹에서 Length는 가지의 길이를 조절합니다. 3)start angle은 가지의 각도를 조절합니다. 4)Generation 그룹은 모든 generator의 공통 그룹입니다. 5)generation 그룹의 shared에서 first, last는 가지의 시작 및 끝 범위를 조절합니다. first 수치를 올리면 가지의 시작점이 올라갑니다. last 수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