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스턴스 디자이너(substance designer)에서 타일 제너레이터(tile generator) 사용법 1)타일에 사용할 shape 노드를 생성하고 pattern에서 brick을 선택합니다. pattern specific, scale의 값을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2)Tile generator 노드를 생성하고 shape 노드를 인풋으로 사용합니다. Tile generator 기본 속성 3)Instance Parameters의 x, y amount에서 가로 세로 타일의 개수를 설정합니다. pattern에서 image input를 선택합니다. 4)size의 scale에서 1단위 타일의 스케일을 설정합니다. 5)size random에서 단위 타일의 스케일을 랜덤하게 설정합니다. 6)position의 ..
서브스턴스 디자이너(substance designer)에서 seamless 텍스처 만들기(make it tile photo) 타일 이미지의 경계에 존재하는 seam을 제거하는 방법 1)2D뷰에서 텍스처를 표시하려면 노드를 더블 클릭합니다. 2)2D뷰의 하단 아래 표시한 아이콘을 활성화하면 텍스처의 타일 이미지를 표시합니다(단축키 space bar) 3)이미지의 경계에서 seam이 존재하는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4)텍스처의 아웃풋에 make it tile photo grayscale 노드를 추가합니다. 5)타일 이미지의 경계에 seam이 존재하지않는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서브스턴스 디자이너(substance designer)에서 노드 연결을 직선으로 표시하기 1)기본적으로 그래프에서 노드와 노드의 연결은 곡선으로 표시됩니다. 2)노드와 노드의 연결을 직선으로 표시하려면 그래프의 상단에 표시한 아이콘을 활성화합니다.
서브스턴스 디자이너(substance designer)에서 그래프에 노드 추가하기 1)라이브러리(Library)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노드들을 확인할수있습니다. generators의 noises에서 다양한 종류의 노이즈 유형 노드들을 확인할수있습니다. 2)generators의 patterns에서 타일 제너레이터(tile generator)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패턴 유형 노드들을 확인할수있습니다. 3)Library에서 노드를 클릭, 드래그해서 그래프에 드롭하면 노드를 생성합니다. 4)그래프에서 단축키 space bar를 누르면 노드를 바로 검색하고 생성할수있습니다.
서브스턴스 디자이너(substance designer)에서 노드 그룹 만들기(frame) 1)클릭 드래그해서 그룹으로 설정할 노드를 선택합니다. 2)마우스 우클릭하고 메뉴에서 add frame를 선택합니다. 3)프레임이 추가된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프레임을 이동시키면 그룹을 구성하는 모든 노드가 이동합니다. 4)프레임을 선택하고 프로퍼티(property)에서 타이틀(title)을 설정합니다.
지브러시(zbrush)에서 캔버스의 크기 및 해상도 설정하기 작업 문서 영역 및 캔버스의 크기를 설정하는 방법 1)지브러시를 실행합니다. 2)작업 문서의 영역(캔버스의 크기) 및 색상이 기본값으로 설정되어있는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3)캔버스의 크기 및 해상도를 설정하려면 상단의 document 팔레트로 이동합니다. double을 클릭하면 현재 캔버스의 2배 크기로 설정합니다. 4)캔버스의 크기가 2배로 설정된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4배 해상도) 5)캔버스의 해상도를 사용자 설정하려면 width, height 픽셀 해상도를 입력합니다. 고정 비율을 해제하려면 pro를 비활성화합니다. 6)resize를 클릭하면 캔버스의 크기 및 해상도를 재설정합니다.
지브러쉬(zbrush)에서 3D오브젝트에 텍스처 맵핑하기 1)스피어 오브젝트를 생성합니다. 2)우측의 texture map에서 표시한곳을 클릭합니다. 3)import를 클릭하고 맵핑할 텍스처를 불러오기합니다. 4)텍스처의 미리보기를 확인할수있고 texture on이 활성화된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5)3D 오브젝트에 uv coordinate가 존재한다면 텍스처가 정상적으로 맵핑됩니다. 6)재질을 flat color로 변경해서 텍스처를 확인합니다.
지브러쉬(zbrush)에서 모델의 두께 생성하기(zmodeler, qmesh) 1)스피어 오브젝트를 생성합니다. 2)selectRect 브러시를 사용하여 영역을 선택합니다. 3)선택영역 외의 영역이 숨기기된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4)스피어 오브젝트의 두께가 존재하지않는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5)zmodeler 브러쉬를 선택합니다. 6)모델의 포인트(point), 엣지(edge), 폴리곤(polygon) 위에서 각각 마우스 우클릭하면 액션(action) 메뉴를 표시합니다(단축키 spacerbar) 7)폴리곤(polygon) 위에서 마우스 우클릭해서 폴리곤 액션 메뉴(polygon actions)로 이동합니다. qmesh를 선택하고 target에서 all polygons를 선택합니다. 8)모델의 폴리곤을 클..
지브러쉬(zbrush)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재질, 알파, 텍스처, 레퍼런스(grid) 라이브러리 지브러쉬의 리소스 센터(resource center)에서 재질, 알파, 텍스처, 레퍼런스등을 제공합니다. 아래 웹사이트에서 무료로 다운로드할수있습니다. 재질 http://pixologic.com/zbrush/downloadcenter/library/ ZBrush :: Resource Center Become a ZBrush Insider Don't miss out Sign up to access exclusive tools, tutorials and giveaways available only to our subscribers. pixologic.com 알파 http://pixologic.com/zbrush/..
지브러쉬(zbrush)에서 backfacemask(auto masking) 사용하기 오브젝트 뒷면 마스킹하는 방법 1)박스를 생성하고 두께를 얇게 수정하였습니다. 2)move 브러쉬를 사용해서 앞면을 변형하면 뒷면도 변형된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3)brush 팔레트의 auto masking에서 backfacemask를 활성화합니다. 4)앞면을 변형해도 뒷면이 마스킹(masking)되어 변형되지않는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지브러쉬(zbrush)에서 캐릭터 실루엣 확인하기 1)상단의 document 메뉴에서 아래 표시한 range 수치를 줄이면 캔버스의 배경 색상을 단색으로 설정합니다. 2)오브젝트의 재질로 chalk를 선택합니다. main color에 검정색을 설정합니다. 3)캐릭터의 실루엣을 확인할수있습니다.
지브러쉬(zbrush)에서 사용자 언어 변경하기 1)상단의 환경 설정 메뉴로 이동한다(환경 설정, preference) 2)언어에서 변경하려는 언어를 선택한다. 현재 한국어로 설정되어있으며 영어로 변경하였다(english) 3)store config를 클릭하면 현재 설정을 저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