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맥스 브이레이(v-ray)에서 VRayFur를 이용하여 잔디 만들기 (사용 버전 - autodesk 3ds Max 2014, V-Ray Adv 2.40.03) 1)씬에 plane을 생성합니다. 2)plane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geometry의 VRay에서 VRayFur을 선택합니다. 3)plane 오브젝트의 하위에 VRayFur 오브젝트가 추가된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4)VRayFur 오브젝트에서 소스 오브젝트(source object)로 plane이 설정된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5)씬에 조명을 추가하고 GI environment에 체크한후 렌더링합니다. 6)VRayFur 오브젝트의 속성을 설정합니다. 7)재질에 잔디 텍스처 이미지를 설정하고 재질을 VRayFur 오브젝트에 할당합니다.
3D맥스에서 자식 오브젝트(linked)의 모션을 독립적인 애니메이션으로 만들기 (사용 버전 - autodesk 3ds Max 2014) 1)씬에 2개의 오브젝트를 생성합니다. 2)Select And Link 도구를 사용하여 box 오브젝트를 teapot 오브젝트에 링크합니다. (box 오브젝트를 teapot 오브젝트의 자식 오브젝트로 설정합니다) 3)teapot 오브젝트(부모 오브젝트)에 키 프레임 애니메이션을 설정합니다. 부모 오브젝트(teapot)의 변형은 자식 오브젝트(box)에도 적용됩니다(position, rotate, scale) 4)자식 오브젝트를 부모 오브젝트로부터 독립시키면서(unlink) 해당 모션을 독립적인 자식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으로 생성하려면 box 오브젝트(자식 오브젝트)를 ..
3D맥스에서 오브젝트를 링크하는 두가지 방법(select and link tool, link constraints) (사용 버전 - autodesk 3ds Max 2014) select and link tool 1)상단의 도구 모음에서 select and link tool를 클릭합니다. 2)오브젝트를 클릭하고 링크 대상 오브젝트를 클릭합니다. 3)select and link tool는 선택한 오브젝트를 대상 오브젝트의 자식 오브젝트로 설정합니다. 4)다시 독립된 오브젝트로 설정하려면 unlink를 클릭합니다. link constraints 5)오브젝트를 선택하고 상단의 animation메뉴에서 constraints의 link constraints를 선택합니다. 6)대상 오브젝트를 선택합니다. 7)오브젝트..
3D 맥스 커브 에디터(curve editor)에서 애니메이션 키 복사하기(curve editor, copy, paste) (사용 버전 - autodesk 3ds Max 2014) 한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 키를 다른 오브젝트로 복사하는 방법 1)씬에 오브젝트(teapot)를 생성하고 키 프레임 애니메이션을 설정합니다(transform-position, rotate, scale) 2)새로운 오브젝트를 생성합니다(box) 3)teapot 오브젝트에 설정한 애니메이션의 키를 box 오브젝트에 복사하려면 teapot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상단의 graph editors에서 track view - curve editor로 이동합니다. 4)teapot 오브젝트의 애니메이션 키 커브를 확인할수있습니다. 5)좌측에서 복..
3D 맥스에서 버텍스 링크 만들기 (사용 버전 - autodesk 3ds Max 2014) linked xform를 이용하여 오브젝트 버텍스 링크 만드는 방법 1)씬에 plane 오브젝트를 생성합니다. 2)create의 helpers에서 포인트(point)를 선택합니다. 3)씬에 point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snap을 이용하여 plane 오브젝트의 버텍스 위에 위치시킵니다. 4)plane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편집가능한 폴리곤 오브젝트로 변환합니다(convert to editable poly) 5)폴리곤 오브젝트의 use soft selection에 체크하고 폴오프(fall off )를 설정합니다. 6)point 오브젝트와 동일한 위치의 버텍스를 선택합니다. 7)하위 버텍스를 활성화한 상태에서 linke..
3D맥스에서 폴리곤 편집하기(Edit poly) - extude, outline, bevel, inset 1)오브젝트에 edit poly 수정자를 추가합니다. 2)하위 선택에서 polygon을 활성화합니다. extrude 3)오브젝트의 폴리곤을 선택합니다. 4)edit polygons의 extrude 옵션을 선택합니다. extrude 유형을 선택하고 높이(height)를 입력합니다. extrude group, height 20 extrude local normal, height 20 extrude by polygon, height 20 5)apply and control 버튼을 클릭하면 동일 옵션을 반복 적용합니다. outline 6)오브젝트의 폴리곤을 선택하고 edit polygons의 outline ..
3D맥스에서 bevel 수정자 사용하기 1)shape 오브젝트를 생성합니다. 2)bevel 수정자를 추가합니다. 3)bevel values의 start outline을 설정합니다. start outline 0 start outline 10 4)level 1의 height과 outline을 설정합니다. level 1 height 10 level 1 height 10, outline -10 5)level 2의 height과 outline을 설정합니다. level 2 height 10 level 2 height 10, outline -5 6)parameters의 세그먼트(segments) 수치를 입력합니다. 7)면에 세그먼트가 추가된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8)curved sided에 체크하면 표면을 곡선화합니..
아프리카의 식물들(나무, 잔디) 레퍼런스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다양한 종류의 식물들(나무,잔디) 레퍼런스 1)Vachellia abyssinica https://ceb.wikipedia.org/wiki/Vachellia_abyssinica 2)Vachellia tortilis(Acacia tortilis) https://en.wikipedia.org/wiki/Vachellia_tortilis 3)Adansonia digitata(African baobab) https://en.wikipedia.org/wiki/Adansonia_digitata 4)Andropogon(bluestem grass) https://en.wikipedia.org/wiki/Andropogon 5)Combretum erythrophy..
3D맥스에서 기초 조명 사용방법(standard lights) (사용 버전 - autodesk 3ds Max 2014) 기본 조명(standard lights)과 스캔라인렌더러(scanline renderer)를 사용하여 씬을 연출하는 방법 주광 1)씬에 plane, teapot 오브젝트를 생성하고 라이트(주광, omni)를 추가합니다. 주광, omni, intensity - 1 빛의 감쇄 2)라이트(omni01)의 intensity/color/attenuation에서 decay를 확인합니다. decay는 빛의 감쇄를 의미합니다. none으로 설정하면 빛의 감쇄를 표현하지않습니다. 3)decay 유형으로 inverse 및 inverse square를 선택하면 빛의 감쇄를 표현합니다. start는 빛의 감..
3D 맥스에서 loft를 이용한 강 물줄기 모델링 (사용 버전 - autodesk 3ds Max 2014) 1)라인 오브젝트를 사용하여 강의 물줄기를 형성합니다(line1) 2)새로운 라인 오브젝트를 추가하고 강의 단면을 형성합니다(line2) 3)강의 물줄기(line1)를 선택하고 create의 compound objects에서 loft를 선택합니다. 4)get shape를 클릭한후 씬에서 강의 단면(line2)을 선택합니다. 5)loft로 생성한 강의 물줄기 모델을 확인할수있습니다. 6)라인의 곡선 해상도를 높이려면 loft의 옵션에서 path steps 수치를 높입니다. 7)loft로 생성한 모델의 형태를 변형하려면 deformations의 scale로 이동합니다. 8)symmetrical를 비활성..
3D 마야(MAYA)에서 씬의 오쿨루전(occlusion) 렌더링하기 (Autodesk Maya 2014) 멘탈레이 렌더러와 mib_amb_occlusion를 사용한 방법 1)씬을 구성하고 렌더링합니다. 2)상단의 window 메뉴에서 settings/preferences의 plug-in manager로 이동합니다. 3)mayatomr.mll의 loaded에 체크하고 멘탈레이 렌더러를 불러오기합니다. 4)rendering editors의 render settings로 이동합니다. 5)기본 소프트웨어 렌더러로 설정되어있는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render using maya software) 6)멘탈레이 렌더러로 변경합니다(mental ray) 7)rendering editors의 hypershade로 이동..
3D 마야(MAYA)에서 카메라 배경이미지(image plane) 설정하기 (Autodesk Maya 2014) 1)render settings에서 렌더링 해상도를 설정합니다(image size) 2)렌더링 해상도와 동일한 크기의 이미지를 준비합니다. 3)상단의 create 메뉴에서 cameras의 cameras and aim를 선택합니다. 4)아웃라이너(outliner)에서 씬에 생성한 카메라 그룹(camera group)을 확인할수있습니다. 5)camera를 선택합니다. 6)뷰포트 상단의 Panels 메뉴에서 Look Through Selected를 선택합니다. (또는 Panels의 Perspective에서 Camera1를 선택합니다) 7)해당 뷰포트를 카메라 뷰로 설정한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8..